위로가기 버튼

풍년의 역설

등록일 2022-11-14 18:09 게재일 2022-11-15 19면
스크랩버튼
홍석봉정치에디터
홍석봉정치에디터

흉년만큼 힘든 풍년이다. 풍년에 농부의 소득이 오히려 줄어드는 현상인 이른바 ‘풍년의 역설’ 때문이다. 국내산 과일의 가격이 전년보다 뚝 떨어졌다. 소비자들은 미소 짓는 반면 농부들은 한숨만 내쉰다. 과일은 풍작인데 값은 오히려 전년보다 못하다. 각종 자재 및 농약 등과 인건비는 올랐는데도 과일값에 반영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반면 수입산 과일은 원가 상승에 따라 고공행진 중이다.

올해 사과와 배 등 과일이 풍작을 이뤘다. 예년에 비해 태풍 피해가 크지 않았고 수확기에 일조량이 좋았던 덕분이다. 과일은 잘 익었고 병충해 발생도 적었다. 과일의 당도가 높고 맛이 뛰어나지만 가격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크게 떨어졌다. 이른 추석에 따른 소비 부진으로 많이 남은 물량도 가격 하락을 부추겼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올해 생산된 사과와 배 저장량이 전년 대비 각각 2%, 21%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물량이 늘면 값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단감은 생산량과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각각 12%, 6% 늘면서 도매가격이 전년보다 20~30%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샤인머스켓도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샤인머스켓은 재배 면적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쌀은 ‘풍년의 역설’을 해마다 반복하고 있다. 풍년이 쌀값 폭락으로 이어져 농심을 멍들게 한다. 정부는 시장격리와 공공비축미를 늘리는 대책을 내놓았다. 농민 살리려다가 국가 재정이 구멍날 판이다.

배추와 양파, 마늘 등 농작물은 걸핏하면 풍작과 가격폭락을 되풀이한다. 수급조절을 못한 농정과 농민 탓이 크다. 올해는 특히 작황이 좋은 과일이 풍년의 역설을 피해가지 못했다. 농민은 절망한다. 농부의 마음은 풍년을 반기지 못한채 타들어가고 있다.

/홍석봉(정치에디터)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