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제는 경제”

등록일 2022-11-08 17:00 게재일 2022-11-09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미국 중간선거에서 민주당과 공화당이 대혼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선거 승패를 가를 핵심쟁점으로 ‘경제문제’가 떠올랐다고 한다. 미국 언론 여론조사에서 투표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으로 응답자의 81%가 ‘경제’를 꼽았고, 78%는 ‘인플레이션’이라 응답했다고 한다.

정치가 자당의 이해득실을 따져 온갖 음모술수로 정치적 이슈를 쟁점화하려도 국민의 눈에는 경제만큼 중요한 이슈가 없다는 해석이다.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는 빌 클린턴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구호로 유명하다. 1992년 미국 대선에서 걸프전 승리로 인기 절정에 있던 현직 대통령인 조지 부시를 누르고 승리한 빌 클린턴은 당시 미국의 경제난을 국민에게 부각시킨 덕에 대통령에 당선된 것이다.

의외의 결과에 미국 정치계도 놀랐던 일이다. 국민의 관심은 그 어떤 것보다 경제문제 해결에 더 많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번 미 중간선거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아마 비슷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우리경제는 사면초가 상황이다. 경제 3요소인 생산, 소비, 투자가 트리플 감소하고 물가는 다락같이 올라 서민의 삶은 그 어느 때보다 팍팍해졌다. 미국발 금리 인상으로 영끌족과 빚투족은 물론 서민층까지 금리인상에 따른 부담으로 밤잠을 설치는 지금이다.

2천조원에 달하는 사상 초유의 가계부채가 폭발할지도 모르는 위급한 상황에 그 어떤 정치적 이슈가 경제를 누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정치의 근본은 백성을 잘 살게 하는 데 있다는 선현의 말이 새삼 와 닿는다. 민심이 경제다.

정쟁에 중독된 듯 싸움판으로 변질돼 가는 우리 정치에 국민은 더 이상 관심이 없다. 경제문제를 푸는 정치가 바로 이기는 정치가 되는 길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