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스마트팜혁신밸리 찾아<br/>쌀값 안정 정책 신속한 이행<br/>농업창업 적극 지원 등 약속
윤석열 대통령은 5일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실을 제어하고 로봇까지 활용하는 모습에서 우리 농업의 미래를 봤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북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방문해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농업은 중대한 전환기에 있다”며 “정부는 농업인과 함께 농업이 새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청년들이 운영하는 재배시설부터 둘러본 윤 대통령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역량을 가진 청년들이 스마트농업 기술을 배우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 깊었다”며 “청년들은 우리 농업의 혁신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청년들의 농업 창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장기 임대 농지 확대, 창업자금 상환기간 연장 및 대출금리 인하, 농촌 ‘아이돌봄 임대주택’ 확충 등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농업의 과감한 혁신을 위해선 무엇보다 튼튼한 경영 안전망 확보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정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수확기 역대 최대 규모로 쌀 매입을 결정했고 또 신속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농업직불금 지급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며 “태풍 집중호우 등 기후 위기에 대비해서 농작물 재해보험 시스템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상주 스마트팜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을 방문해 청년 농업인이 재배하고 있는 딸기·방울토마토 온실을 둘러보고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환경제어시스템을 직접 조작하며 청년농들을 격려했다.
태블릿PC를 조작해 딸기밭에 안개 분무를 시연해 본 윤 대통령은 “알아서 AI(인공지능)로 하는구나”라고 말했다. 과거 논산지청 근무 시절 지역에 딸기가 많았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토마토 온실에 전시된 방울토마토를 보고선 “이거 농약을 친 건가”라고 물어본 뒤 시식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청년 농업인이 창업을 위해 (자체적으로) 스마트팜을 지으려면 30억 원이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스마트팜을 지어 임대하면 좋겠다”는 한 청년농의 말에 “그래요. 잘 알고 있어요”라고 답했다.
이날 회의는 농업혁신과 경영안정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으며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관계자와 청년 농업인, 농업인 단체 대표, 기업인 등이 참석했다. 회의장에는 ‘젊은 농부, 똑똑한 농업 대한민국의 희망이 됩니다’라는 슬로건이 걸렸다.
한편, 이날 대통령의 상주 방문에 맞춰 상주시농민회(회장 남주성) 회원 10여명은 행사장으로부터 떨어진 RPC공장 부근에서 쌀값 안정대책과 정부양곡관리법 개정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쌀값이 하락한 주된 원인은 쌀 소비량 감소가 아니라 정부의 ‘저율관세할당물량(TRQ-Tariff rate Quotas)’으로 수입한 쌀 40만 9천t을 적절하게 격리하지 못한 탓이라고 주장했다. /박형남·곽인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