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비상경제대책회의 개최<br/>‘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br/>‘주 52시간 특별 연장근로’ 인가 <br/>인력·장비 등 최대한 지원 약속<br/>산자부 ‘복구 수급점검 TF’ 구성 <br/>산업·수출입 파급 최소화 나서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막대한 피해를 본 포항철강공단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경북도가 대책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항철강공단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 TF’를 가동하고 경북도는 ‘포항철강공단 정상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경북도는 14일 포항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회의실에서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포항철강공단 정상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업들의 요구사항이 이어졌다. 대규모 사업장은 모터, 기계 등 장비·설비 침수피해가 많아 장비 세척, 정비 전문 인력 지원을 요청했다. 중소규모 기업들은 진흙제거, 폐기물 처리, 청소 등 자원봉사 인력지원과 사업장 폐기물처리 시 톤당 18만 원 비용이 소요돼 처리비용 지원 및 호동 매립장 반입도 요청했다.
특히, A사는 셰일가스 파이프생산 시설 침수로 정상 가동까지 시일이 걸리고, 수출 납기와 품질이 문제인데다 생산 제품의 불량도 염려된다고 호소했다.
철강공단 입주업체들은 또한 장기적으로 태풍, 집중 호우시 냉천의 범람을 막을 수 있도록 차수벽 설치와 항사댐 건설, 방재·배수 시스템 보강 등 항구적인 재발방지 대책도 요구했다.
이에 경북도는 철강공단의 정상화를 위해 포항시와 공조해 산업부에 건의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채택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신속한 피해복구를 위해 주 52시간 근로시간 특별연장근로 신청 시 고용노동청에서 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또한 기업들의 요구사항을 유관기관과 협조해 조기 복구를 통한 운영 정상화를 위해 인력과 장비 등 최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이철우 지사는 “오늘 논의된 사항을 적극적으로 조치해 포항철강공단 정상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민관합동으로 복구에 총력을 다해 철강생산에 문제가 없도록 극세척도(克世拓道-어려움 이겨내면 새로운 길이 열림)의 정신으로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항 철강산업의 수해 현장 복구를 총력 지원하고 수요산업 및 수출입 파급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 TF’를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포스코·현대제철·철강협회·한국무역협회 등과 TF 제1차 회의를 열어 현장 복구 상황을 공유하고 수요산업 및 수출입 영향을 점검했다.
포스코·현대제철 등은 복구 물품 조달과 주 52시간제 한시적 완화 등 복구 과정상의 애로 사항을 전달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TF 가동과 함께 민간전문가 중심의 민관합동 ‘철강수급 조사단’도 이번 주에 구성해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현장 복구지원 및 철강 수급 영향에 대한 전문가 진단을 시행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철강재는 ‘산업의 쌀’이라 불릴 만큼 모든 산업에 중요한 자재”라며 “철강수급 조사단을 통해 철강재 생산 정상화 시기 등을 정확히 예측하고 우리 산업의 공급망 안정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