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태풍에 대비하여

등록일 2022-09-05 19:00 게재일 2022-09-06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가을의 길목에 달갑지 않은 태풍이 들이닥쳐 온나라가 바싹 긴장하고 있다. 그것도 한반도에 가장 큰 피해를 준 1959년의 사라호나 2003년의 매미를 능가할 강도의 ‘역대급 초강력 태풍’ 힌남노가 오늘 새벽 남해안에 상륙할 전망이라니, 불안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늦여름에 돌연한 집중호우의 상흔이 아직 채 가시기도 전에 폭우와 강풍을 동반한 엄청난 위력의 회오리가 한반도를 할퀴면서 또 어떤 피해와 상처를 남길지 착잡하기만 하다. 벼나 과일 등 여러 농작물이 무르익어가고 민족의 명절 추석을 목전에 둔 시기에 이 무슨 자연의 내습이며 변고란 말인가?

태풍은 자연현상의 한 부분이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발생빈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아마도 지구 온난화에 기인한 부분이 적지는 않을 것이다.

실제로 태평양보다 평균적으로 수온이 1~2℃ 높은 대서양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은 태평양의 태풍보다 훨씬 집중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 2013년 이후부터는 기후 변동으로 인해 태풍 시즌이 늦어지면서 여름 태풍이 줄고 가을 태풍은 늘고 있으며, 대체로 가을 태풍이 더 큰 피해를 남기곤 한다. 태풍이 몰고 올라오는 무덥고 습한 북태평양의 열기가 남하하는 시베리아의 냉기와 충돌하면서 거센 바람과 함께 폭우를 뿌릴 가능성이 높고 농작물들의 수확을 앞둔 시기라 도복, 낙곡, 낙과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음력 7월 15일을 전후한 시기는 해수면이 연중 최고로 높아지는 시기라 해일이 일어날 위험이 어느 때보다 커진다.

이러한 불가피한 태풍의 내습 앞에서는 선제적인 대응과 적극적인 준비태세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일 것이다. 태풍의 진로와 시기는 얼마든지 예측 가능하고 상황에 따른 조치와 대비는 사전에 충분히 할 수 있다. 저지대 가옥 침수나 하천 범람에 따른 농경지 유실, 강풍으로 인한 시설물 파손과 절개지의 산사태 등의 위험개소에 대한 사전 점검과 배수로 청소, 둑 보강, 방류, 결속, 유도 등의 예방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그에 따른 국민행동요령과 사전대응을 정부에서도 강조하며 자연재난에 대비한 태풍상황 점검과 확인을 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준비하면 근심이 없다(有備無患)하지만, 아무리 완벽하게 준비하고 대응해도 돌발적인 상황 앞에서는 속수무책일 수도 있으니 간곡하고 적극적인 태세로 풍수해의 대비와 사전조치, 상황에 직면한 적절한 대처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재난은 사회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와 고통으로 다가올 수도 있으니, 반지하 주택지와 해안가 저지대 등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과 조치가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태풍 전야는 고요하기 마련이다. 누구를 탓할 수도 나무랄 수도 없는 자연현상이지만, 그저 태풍 전의 고요함처럼 거센 비바람이 휘몰아치는 12시간 동안 국립보호구역이라는 ‘힌남노’처럼 한반도를 보호하며 사뿐히 지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