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정무 수석실 등 중심<br/>일부 인사 사퇴권고·인사위 회부<br/>인적쇄신 차원 중폭 교체될 전망<br/>홍보·정책파트 등도 재정비할 듯
대통령실은 직무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는 ‘업무기술서’를 토대로 사직을 권고하고, 추석 전 중폭 교체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다음달 추석 연휴 전에 비서관들이 상당수 물갈이될 수 있다”고 예고했다. 다른 관계자는 “한꺼번에 사람을 내보내면 조직 운영이 어려워지니 조금씩 조금씩 개편해나갈 예정”이라며 “당장 10명 이상을 교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민사회수석실과 정무수석실이 주요 개편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7층은 이미 피바람”이라고 표현했다. 용산 대통령실 청사 7층에는 시민사회수석실과 정무수석실 참모들이 입주해 있다.
실제 시민사회수석실은 보안 사고에 대한 책임을 물어 A 비서관을 29일 열리는 인사위원회에 회부해 놓은 상태다. 또 인사 개입 등의 혐의를 받은 B비서관은 스스로 물러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무수석실도 피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소속 비서관 3명 중 최소 1명 이상을 교체할 것이라는 말과 함께 전원 교체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물밑에서는 후임자를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앞서 정무수석실에서는 지난주 2급 선임행정관 행정관 등 3명이 권고사직에 의해 물러난 바 있다. 전체 인원의 30%가량을 잘라냈다는 얘기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전후해 선임행정관 이하 전 직원들에게 써내도록 한 업무기술서를 토대로 사직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무기술서에서는 국민을 위해 희생하고 봉사하는 공직자 정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역량 등 두 가지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물어봤다.
이런 가운데 홍보나 정책 파트도 이번 인적 개편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은혜 신임 홍보수석 임명으로 분위기를 전환한 홍보수석실은 국민 소통의 최전선으로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비서관과 행정관들의 진용을 가다듬을 전망이다. 늘공(정부 부처 출신 공무원) 위주로 구성된 경제수석실이나 사회수석실에 어공(정치권 출신 정무직 공무원)을 투입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업무 전문성뿐 아니라 책임 의식, 열정까지 고려해 자연스럽게 인력을 교체하거나 재배치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적쇄신, 조직의 재정비는 어느 정부에서나 이뤄지는 일”이라며 “취임 100일을 기점으로 이런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기한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실은 국민에게 헌신하고 봉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그 적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에 의해 유지돼야 하는 것”이라며 “김대기 비서실장이 이야기했던 것처럼 (인적 쇄신은) 5년 내내 상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업무기술서 접수가 완결된 수석실부터 (개편 작업이) 착수되고 있다”며 “특정 수석실이 아니라 지휘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공직자가 평가대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의힘 내 혼란 상황에 대해 “당 의원들은 개별적인 독립 주체다. 헌법기관이기도 하다”며 “그래서 중지를 모아서 고심해서 내린 결론에 대해서는 일이 잘 해결되기를 기대한다. 저희가 이 이상으로 드릴 수 있는 말씀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