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의 절정이다. 연이은 태풍 북상 예보에 고온다습한 날이 계속돼도 휴가를 떠나는 발길은 급증하고, 피서지엔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중복을 넘긴 7월말~8월초가 하계휴가 절정기로 전국민의 60% 이상이 피서나 휴양을 위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토교통부에서는 안전한 교통환경과 원활한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특별교통대책’을 마련·시행할 정도다. 코로나19의 6차 대유행 조짐으로 불안과 긴장을 떨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바캉스 행렬은 왕래부절이니 우려와 설마가 넘나드는 딜레마 같은 나날이랄까?
그래도 어디론가 떠나는 것은 신나는 일이 아닐까 싶다. 도돌이표 같은 일상에 더군다나 3년째 발목 잡아온 거리두기로 사람들은 얼마나 시달리고 억눌렸는지, 웬만하면 일단 집을 나서 시원한 콧바람을 날리며 그간의 지긋지긋함을 떨쳐 버리려는 모양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낯선 환경과 접하고 새로운 경험을 쌓아간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신경 써야 하고 부담스러운 것들을 내려놓고 잠시나마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며 여유롭고 편안한 시간을 갖는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희망사항일 것이다.
휴가는 어쩌면 그와 같은 방편과 필요에 의해서 생겨난 것인지도 모른다. ‘빨리빨리’를 외치며 휴식을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너나없이 일만 하는 ‘개미의 삶’에서 벗어나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잠시라도 나를 바라볼 수 있는 휴식, 무위(無爲)에서 오는 자유감, 자유시간 동안 빈둥거릴 수 있는 게으름 등도 아주 훌륭한 여가활동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휴가를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한 것이 아닐까 싶다. 기계처럼 일만 한다고 해서 결코 능률이나 생산성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쉼과 여가생활이 있는 일터의 리듬이 진정한 효율과 창의성을 높여준다는 논리다.
그래서 지난 주말, 평소 가까이 지내는 지인들과 부산 나들이를 다녀온 것은 여유로운 쉼과 함께 삶의 리듬을 새삼 느끼게 해준 시간이었다. 최대한 편하고 한가롭게 해변을 거닐다가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관광명소를 찾아 눈요기를 하고, 주변 맛집에서 별미 먹거리로 입을 즐겁게 하며 시원한 바닷바람을 쐰다는 것은, 단조로운 일상에 활력의 리듬을 물결치게 하기에 충분했었다. 더욱이 부산 2030 엑스포 유치를 위한 ‘부산에 유치해 콘서트’장면을 우연히 접하기도 하고, 저만치 떨어진 곳에서 솟아오르는 밤하늘의 불꽃쇼가 마치 관광객을 반기는 축포로 여겨져 한결 여흥을 돋우는 듯했다.
재충전의 시간은 빼곡한 일상의 갈피에서 벗어나 마음이 이끌리는 대로 구름처럼 움직이고 물결처럼 흘러가는데 몸을 맡기는 것이리라. 쉼과 놀이를 즐기는 사람이 일을 잘 하듯이, 일만 하고 쉴 줄 모르는 자는 미래 경쟁력인 창의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쉼은 준비와 도약을 위한 워밍업이자 삶의 리듬을 채워주고 생기를 더해주는 일상의 여백이며 행복의 텃밭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