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행정통합, 결국 없던 일로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2-07-05 20:12 게재일 2022-07-06 2면
스크랩버튼
특별지방자치단체설립도 무산<br/>홍준표 시장 “비현실적”못 박아<br/>추진 맡은 광역행정기획단  폐지
홍준표 대구시장이 5일 대구시청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경북이 그동안 심혈을 기울여 온 행정통합이 결국 없던 일로 됐다. 그리고 행정통합 대신 전 단계로 추진해온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사실상 중단됐다.

5일 경북도에 따르면, 민선 8기에서 권영진 대구시장이 홍준표시장으로 바뀌면서 결국 파국을 맞았다. 2019년 말부터 시동을 건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지난해 초 중단된 데 이어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막을 내리게 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취임한 직후 단행한 조직개편에서 특별지방자치단체설립을 추진해온 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을 폐지키로 했다.


또 홍준표 시장은 행정통합과 관련 “현실적으로 되지도 않을 엉뚱한 짓”이라고 못 박은 데다 그동안 행정통합과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주도해온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중앙 차원의 제도 마련 없이 대구·경북 자체로 하기는 어렵다”고 거듭 밝히면서 동력을 상실했다.


2019년 당시 이 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은 2022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속도를 냈으나 공감대 형성에 실패해 지난해 상반기 장기 과제로 넘기고 논의를 중단했다.


통합체제 출범 시한을 못 박아두고 시·도민 공감대를 외면한 채 시간에 쫓겨 급하게 추진한 것이 결국 발목을 잡았다.


이 지사와 권 전 시장은 행정통합 대신 그 전 단계로 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에 나서 올해 3월 말 이를 준비하는 광역행정기획단을 공동으로 출범시켰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해 10월 정부가 초광역협력과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수도권 집중에 따른 인구감소와 경쟁력 약화에 대응하고 광역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에 속도를 냈다.


하지만 대구시가 특별지방자치단체설립을 추진해온 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을 폐지했다.


이어 홍 시장은 5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행정통합이 사실상 중단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구와 경북은 행정통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요 사업에 대한 정책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행정통합이 아니라 정책협조체제를 새로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지사도 이날 ‘지방시대 주도 경북도 준비위원회’ 도민보고회에서 “대구시에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에 불편해하는 것 같은데 서로 협조해서 광역업무는 시와 도 자체적으로 상생협력 부서를 만들어서 계속 추진하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사실상 무산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지사는 “특별지방자치단체는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교통, 관광 등을 같이 하면 된다”며 “행정통합은 대구와 경북 자체적으로 가기는 어렵다고 판단돼 전국이 함께 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민선 8기 정책과제 발굴을 위해 활동한 ‘지방시대 주도 경북도 준비위원회’는 “대구와 경북의 초광역 협력이 필요하고 광역행정기획단은 반드시 지속돼야 한다”고 시·도지사에게 제안했다.


하지만 대구의 사정상 지속되기가 어렵다는 것에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여러가지 상황이 과거와는 상당히 바뀌었다. 하지만 대구와 경북은 한뿌리로 상생을 이어가야 하는 만큼 대화와 소통으로 협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