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 혁신… 권영진 시장 임명 정무직·기관장 사퇴 간접 압박 해석
홍 당선인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무적 임기를 내세워 자리를 지키려 하는 것은 담대한 변화에 대한 저항이고 기득권 고수에 불과하다”며 “담대한 변화의 출발은 인적 쇄신에서 시작된다”고 밝혔다.
또 “직업 공무원도 아닌 정무직이 임기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면서 “그것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나 이치가 똑같다”고 지적했다.
홍 당선인은 “정부의 성격도 다르고 통치 방향도 다른데 굳이 임기를 채우겠다는 것은 몽니나 다름 없다”며 “이미 문 정권이 이른바 블랙리스트 사건을 저지른 것도 바로 그런 것 때문이 아니었습니까”고 반문했다.이어 “염치를 알아야 공직을 맡을 자격이 있고 이를 모른다면 공복이라고 할수 없지요”라며 “블랙리스트 사건처럼 정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직접 절차에 따라 단시간 내 혁신하고 담대한 변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홍 당선인의 이날 지적은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 위원장 등을 둘러싼 사퇴 논란에 대한 언급이지만, 대구시정 혁신을 내세워 권영진 시장이 임명한 정무직과 공공기관장들의 사퇴를 간접 압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 19일에도 “진정한 리더는 진퇴가 분명해야 한다”고 지적해 문 정부 당시 임명된 후 계속 활동 중인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다 지난 17일에는 “정권이 바뀌면 전 정권에서 코드인사로 임명된 정무직들은 퇴직함이 당연한데도 임기를 내세워 버티겠다는 것은 후안무치한 짓”이라고 비판했다.홍 당선인은 “능력이 출중해서 그 자리에 갔다면 당연히 혁신의 대열에 동참함이 타당하지만, 능력과 상관없이 정무적 판단으로 그 자리에 갔다면 주도세력이 바뀌면 물러나는 것이 국민과 시민에 대한 도리이고 순리”라고 제시했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직 인수위원회는 실국별 업무보고와 공약 이행계획에 대한 보고를 마친 뒤 오는 27일쯤 정책 제안서 작성을 완료하고 오는 29일 활동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