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유유히 하늘을 날고 물고기가 펄펄 뛰는 자유롭고 활달한 나날이다. 보리는 누렇게 익어 타맥장(打麥場)이 펼쳐지고, 풀과 잎새가 더욱 짙어가는 하지초목심(夏至草木深)이다. 청보리가 익어 하지 무렵에 거둬들이니, 여름날에도 가을철의 추수처럼 보리나 감자를 수확하는 이맘 때를 맥추(麥秋)라 하기도 한다. ‘하짓날은 감자 캐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는 말도 있듯이, 하지 무렵 감자를 캐어 밥에다 하나라도 넣어 먹어야 감자가 잘 열린다고 해서 요즘도 풋감자를 자주 삶아 먹거나 전을 부쳐 먹기도 한다.
‘향그런 꽃 저버려 온 산 푸른데/가랑비 오는 속에 뻐꾸기 울음 울다/봄날 시름은 풀처럼 자라거늘/어느 때 낫을 얻어 마음의 뜰 베리오(芳花謝了滿山靑 細雨<970F><970F>布穀廳 春日傷悲如草長 何時得<91E4>刈心庭)’- 강성위 한시집 ‘하늘에 두 바퀴의 달이 있다면’중‘봄을 보내며(送春)’중
자연현상이나 사람 사는 일들이 별반 다르지 않다. 산길이나 뜨락은 사람이 다니거나 가꾸지 않으면 금세 풀이 자라 무성해지듯이 사람의 관계도 소통이나 만남이 없으면 어느새 소원해지고 서먹해지게 된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지기 때문이다. 또는 헤어져 가는 사람은 하루하루 멀어지고 오는 사람은 날로 친숙해진다(去者日以疎 來者日以親)는 시구처럼, 절친했던 사람도 멀리 떠나면 점차 멀어지고 자주 만나거나 접하는 사람은 친하고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 세상의 이치가 아닐 듯싶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기에 시간이 지나고 듣거나 눈에 띄지 않게 되면 조금씩 잊혀지고 기억이 희미해지기 마련이다. 망각은 결코 이성능력의 부족이나 타성력이 아니라 삶에 필요하고 삶을 가능케 하는 힘이라 할 수 있다. 수없이 접하고 수집되는 정보가 고스란히 기억에 남아있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컴퓨터의 저장장치나 외장하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할지 모르겠지만, 인간은 날이 갈수록 안 좋거나 고통스러운 기억을 밀어내어 정신적 질서와 안정을 찾게 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망각작용에 의해 인간은 건강함과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잊혀지고 사라져가는 것들을 기억하고 반추함으로써 만족과 희열을 느끼기도 하고 울분과 참회의 계기로 삼기도 한다. 어릴 적의 추억이나 희미한 옛사진을 보며 회상에 젖어드는가 하면, 치 떨리는 고난의 기억을 접해서는 한사코 두 번 다시 되풀이되지 않기를 다짐하고 맹세하게 된다. 그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도 없다는 말이 생겨난 것일까? 옛 것이나 지난 날들의 시비 속에는 얼마든지 지혜나 교훈으로 삼을 일들이 무수히 많다. 다만 그것을 발견하고 되새기는 것은 가치와 관점에서 비롯되는 안목일 것이다.
6·25전쟁이 발발한지 72년째지만 아직도 찾지 못하고 해결되지 못한 일들이 수두룩하다. 어느 무명용사의 넋이 원혼으로 떠돌아 초연이 쓸고 간 6월의 초목이 저리 짙푸른지도 모른다. 사라지고 잊혀져가는 것들에 머무는 따스한 시선으로 관심과 챙김, 정리와 기억의 손길을 멈춰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