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실천 전략 수립 나서 <br/>어촌 신활력사업 최대한 반영<br/>스마트 수산가공단지도 추진
경북도가 동해안을 신성장 거점으로 중점 육성한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해양수산 분야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동해안 성장 전략 수립에 나섰다.
경북도는 14일 동부청사 회의실에서 시군 해양수산 담당과장 회의를 열고 새 정부 해양수산분야 국정과제와 지역공약에 대한 지방적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 선제적으로 실천해 나가기로 했다.
경북도는 앞서 새 정부 110대 국정과제에 대응하는 역점시책으로 △호미반도 국가해양정원 조성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러스터 구축 △원자력안전위원회 경주 이전 △SMR 및 원자력 수소 특화 국가산단 조성을 제시했다. 또한 △한국 해양문화교육진흥원 설립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 △스마트 아쿠아팜 구축 지원 △동해안 블루카본 신규발굴 인프라 조성 △왕돌초 국가 해중공원벨트 조성 △포항 국제서핑특화지구 조성 등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도는 이러한 국정과제를 세부적으로 분석해 단위사업별로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빠르게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어촌을 도시 수준의 생활공간으로 혁신하기 위한 ‘어촌 신활력증진 사업(300개소)’에 지역 어촌이 최대한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전 어항에 대한 사전 실태분석을 통해 사업대상지를 미리 발굴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산식품 클러스터 및 가공종합단지 조성도 국정과제에 포함된 만큼, 영덕에 추진 중인 ‘경상북도 스마트 수산가공종합단지’를 해수부의 추진방향에 맞춰 세부계획을 가다듬는다. 노후 위판장 현대화 사업에도 적극 나선다. 도내 산지 위판장 21개 중에서 10개소를 우선 개선키로 하고 위판장별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해양레저관광 분야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거점형 마리나, 낚시복합타운 유치를 위해 추경에 연구용역비를 확보하고 선제적인 절차 이행에 들어간다. /이창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