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대 등 ‘고교교육 기여대학’ 91곳 선정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2-05-30 18:04 게재일 2022-05-31 12면
스크랩버튼
교육부 2022~2024년 결과 발표<br/>고교학점제 운영 계획 평가<br/>2~3년 동안 전체 575억 지원

개편된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대입에 반영하고 공정한 입시제도를 운영한 대학에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 전국 91개의 대학이 선정됐다. 이들 대학은 앞으로 2∼3년 동안 총 575억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소재지별로 수도권에서는 가톨릭대·고려대·서강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 등 39개교가, 비수도권에서는 강원대·경북대·군산대·부경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한림대 등 52개교가 선정됐다.

교육부는 이 사업을 통해 국고를 걸고 대학들에게 정부의 대입 정책 기조를 반영하도록 유도해오고 있다.

올해 사업에서는 각 대학에게 일선 고교의 고교학점제 운영을 돕도록 하는 계획을 제출받아 함께 평가했다.

이 같은 내용의 ‘고교교육 연계성’ 평가 지표는 총점 100점 만점에 20점을 차지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에 맞게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채우면 졸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지난 정부에서 오는 2025년 고교 전 학년에 전면 도입하기로 했으나, 새 정부는 아직 대입제도 개편 등 준비가 미진하다는 지적에 보완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선정 결과 모든 대학이 참여할 수 있는 유형Ⅰ은 총 77개교를, 기존에 이 사업에 참여한 적 없던 대학을 선발하는 유형Ⅱ 사업에는 14개교를 최종 선정했다.

교육부는 유형Ⅰ에 학교당 연 7억원, 유형Ⅱ에 2억5천만원 내외로 국고 총 575억원을 지원한다. 선정 대학에 2년 동안 재정을 지원하며 마지막 1년은 중간평가를 거쳐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유형Ⅰ의 경우, 선정 과정에서 대학의 소재지와 규모에 따라 따로 평가해 최종 사업 참여 대학을 정했다.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등 비수도권 중·소형 대학에 사업 참여 기회를 주기 위한 취지로 해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각 대학의 입학전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대입 평가가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등 변화에 발맞춰 운영되도록 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