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방대가 위태롭다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2-05-11 19:56 게재일 2022-05-12 12면
스크랩버튼
전국 대학 입학생 수 8.2% 줄 때<br/>서울 0.9%·인천 1.8% 늘어 대조<br/>감소폭 가장 큰 지역 울산 -17.9%<br/>경북 -15.6%로 전국 네번째 수준<br/>대학 때문에 지역 떠났던 청년들<br/>구직시기에 또 한번 이탈 악순환<br/>지방행정연구원 “위기극복 위해<br/>지자체-대학-지역기업 협력해야”

지방 대학들이 존폐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지방 대학의 위기는 대학만의 위기가 아니라 지방 소멸 위기를 가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방 인구 유출을 막는 ‘댐’ 역할로 지방 대학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최근 지방자치단체와 대학, 지역 기업이 상생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1일 이 연구원의 정책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 신입생 미충원 현상은 심각하다.

실제로 2020년 전국 대학 입학생 수가 10년 전보다 8.2% 감소했는데, 서울(+0.9%)과 인천(+1.8%)은 오히려 입학생이 늘었다.

입학생 감소 폭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0년 만에 17.9%나 감소했다. 다음으로 경남(-16.6%), 전남(-16.4%), 경북(-15.6%), 충남(-15.4%), 전북(-14.7%) 순이었다.

수도권 인구 집중에 따른 지방 인구 감소 현상 가운데 특히 청년인구 감소가 심각하다.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이동은 2단계로 이뤄진다. 대학 진학 단계에서 1차 인구 유출이 일어나고, 구직 단계에서 2차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과 직업 등의 이유로 지방을 떠난 청년들의 귀환율은 매우 낮으며, 지방 청년 유출은 지방 활력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방행정연구원은 “지자체와 대학이 상생 협력해 지방 소멸 위기의 악순환으로부터 돌파구를 찾을 필요가 있다”며 “지자체와 대학, 지역 기업의 상생발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은 지역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을 통해 지역발전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지역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촉진하므로 지방 대학의 육성은 지역기업과 연계 속에서 고려해야 한다”며 “지역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지역인재 육성 및 기술혁신 지원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지자체의 지방 대학 지원이 고등교육 지원 정책에 한정하지 않고 지역산업 및 일자리정책, 청년정책 등 다양한 정책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부산시가 청년산학창업국 지산학협력과에서 대학 지원 업무를 지역산업 정책과 연계해 지원하는 것처럼 지자체 차원에서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