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버스 안 운전기사 뒤에 달린 모니터에서 전국 2만295가구 분양이라는 뉴스를 보았다. 보통 아파트 분양 기사에는 ‘500세대 분양’ 이런 식으로 세대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가구라고 하니 새로웠다. 하긴, 정부가 추진하는 주택 정책은 1가구 1주택이라고 하니 가구라는 표현도 말이 된다.
혹시나 해서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세대와 가구 모두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이라고 풀이되어 있고 두 단어는 동의어라고 한다. 행정용어 풀이에 보면, 세대는 동거인을 포함하여 한 집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어서 가구와 세대는 완벽한 동의어처럼 보인다.
그러나 일상에서 세대는 가족을 기반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가구와는 구분해서 쓰인다. 실제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을 때 가족은 세대원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그 세대원은 등본에 안 나오게 할 수 없다. 그런데 동거인은 가족이 아니라서 등본에 안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가족 중심의 세대 개념은 가구와 동의어라기보다는 유의어라고 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래서 1세대 1주택이 아니라 1가구 1주택이라고 했을 것이다.
현행법으로 보면, 혈연관계가 아니라도 한 집에 거주하고 있는 동거인도 독립적으로 아파트 분양 신청을 할 수 없다. 집이 있는 세대주와 동거할 때는 전세 대출에 제한이 있다. 그러고 보면, 행정용어에서 세대에 동거인을 포함시킨 것은 1가구 1주택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행정적 편의라고 보인다. 한편으로는 부당하다는 생각도 들지만, 동거인도 주거와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1세대 1주택이라는 표현보다 1가구 1주택 쪽이 더 합리적으로 보인다.
문제는 아파트 공급 물량을 표현할 때 가구나 세대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적절한지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실제로 LH 홈페이지에도 들어가 보면, ‘공급 호수 총 000세대, 특별 공급 000세대, 일반 공급 000세대’라고 되어 있다.
아파트는 1세대 또는 1가구가 1호만 분양 신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세대라고 하든 가구라고 하든 호수와 내용이 일치한다. 아파트의 경우 한 집에 한 세대 또는 한 가구만 거주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요즘 아파트는 두 세대, 두 가구가 거주할 수 있게 짓기도 하지만, 주인은 한 사람이므로 그건 문제가 아니다. 다만, 세대원이나 동거인도 아파트를 신청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한 세대나 한 가구에 2호를 공급할 수 있는 경우는 성립되지 않는다. 그래도 이런 문제는 그때 가서 바꾸면 되니까 큰 문제는 아니다.
무엇보다 이 표현은 문법적으로 비문이라는 점이 걸린다. 집‘을’ 세대나 가구‘에게’ 공급하는 것이므로 세대나 가구를 공급의 목적어로 쓰면 어색하기 때문이다. 공급 호수 122‘세대’가 아니라 공급 물량 122‘호’, 이런 표현이 알맞지 않을까? 정확한 용어를 쓰는 것은 소통의 기본이다. 관공서에서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부정확한 언어생활을 개선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 관계 기관의 검토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