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비사업 결정 난 가덕도…갈길 먼 통합신공항

등록일 2022-04-27 20:06 게재일 2022-04-28 19면
스크랩버튼
지난 26일 부산 가덕도신공항 건설추진 계획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은 총사업비 13조7천억원이 투입되고 국내 최초의 해상공항으로 건설돼 2035년 개항된다.

당초보다 사업비 규모나 개항시기 등이 크게 달라졌으나 국가정책사업 결정으로 가덕도신공항은 앞으로 기본계획 및 설계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사업의 윤곽이 더 구체화 될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신공항 국책사업 결정을 환영하며 이제는 2029년 조기개항에 힘을 모으고 있다. 2030년 개최되는 부산월드엑스포에 앞서 개항이 돼야 월드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의도다.


20년 끌었던 동남권 신공항건설 논란이 가덕도신공항 국책사업으로 종지부를 찍은 것 같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의 입장에서는 뭔가 아쉬운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특히 임기가 보름도 남지 않은 현 정부가 예타면제까지 생각하며 서둘러 가덕도신공항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결정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에 대한 정치적 특혜를 베풀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국토부가 경제성 등 가덕도신공항의 문제에 대해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판단했다고 밝혔으나 가덕도신공항이 대구경북의 균형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은 당초 부산월드엑스포 개최의 성공을 위해 필수조건으로 요구했으나 개항시기가 미뤄졌고 비용도 7조5천억원이나 더 늘어 정치공항이라는 비판을 받아도 변명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반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국비없이 기부대 양여방식으로 추진된다. 군공항 이전과는 별개로 민간공항 이전이 추진되나 정부 여당은 특별법 제정이나 지원에 대한 그 어떤 구체적 답변이 없다. 부산 가덕도와 비교하면 특혜 차원을 넘어 지역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난이 나올만한 일이다.


지역 정치권의 역량도 문제이나 현 정부의 정책적 차별에 분노마저 느껴지는 대목이다. 통합신공항의 성공은 새 정부의 몫으로 넘어가지만 경제물류 공항으로 성공하지 못하면 지역의 앞날은 어두울 수 밖에 없다.

남광현의 이슈 브리핑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