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보다 사업비 규모나 개항시기 등이 크게 달라졌으나 국가정책사업 결정으로 가덕도신공항은 앞으로 기본계획 및 설계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사업의 윤곽이 더 구체화 될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신공항 국책사업 결정을 환영하며 이제는 2029년 조기개항에 힘을 모으고 있다. 2030년 개최되는 부산월드엑스포에 앞서 개항이 돼야 월드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의도다.
20년 끌었던 동남권 신공항건설 논란이 가덕도신공항 국책사업으로 종지부를 찍은 것 같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의 입장에서는 뭔가 아쉬운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특히 임기가 보름도 남지 않은 현 정부가 예타면제까지 생각하며 서둘러 가덕도신공항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결정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에 대한 정치적 특혜를 베풀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국토부가 경제성 등 가덕도신공항의 문제에 대해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판단했다고 밝혔으나 가덕도신공항이 대구경북의 균형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은 당초 부산월드엑스포 개최의 성공을 위해 필수조건으로 요구했으나 개항시기가 미뤄졌고 비용도 7조5천억원이나 더 늘어 정치공항이라는 비판을 받아도 변명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반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국비없이 기부대 양여방식으로 추진된다. 군공항 이전과는 별개로 민간공항 이전이 추진되나 정부 여당은 특별법 제정이나 지원에 대한 그 어떤 구체적 답변이 없다. 부산 가덕도와 비교하면 특혜 차원을 넘어 지역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난이 나올만한 일이다.
지역 정치권의 역량도 문제이나 현 정부의 정책적 차별에 분노마저 느껴지는 대목이다. 통합신공항의 성공은 새 정부의 몫으로 넘어가지만 경제물류 공항으로 성공하지 못하면 지역의 앞날은 어두울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