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통합·군위 편입·물 협정 등 <br/>사안마다 정치권이 발목 잡아<br/>인수위와 협의 채널 최대 가동<br/>꼬인 현안들 차근차근 풀어야
대구·경북(TK) 지역의 발전을 위한 큰 밑그림들이 정치권의 입김에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대구와 경북은 발전이 침체해 있는 지역의 도약을 위해 행정통합을 비롯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유치 등에 전력을 쏟아왔다. 하지만 대선이후 이러한 지역 현안 추진이 주춤하고 있어 대구시와 경북도가 몸이 달고 있다.
대구의 경우 그동안 이철우 지사와 손발을 맞춰온 권영진 시장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향후 대구경북상생 협력이 현행대로 유지될지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선 대구경북이 상생 협력으로 추진 중인 해평취수원을 이용하는 낙동강물관리 협정체결도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
당초 구미시에서 체결하기로 했지만 지역 국회의원 등 정치권의 반발로 세종시로 장소를 옮겨 행사를 가졌다.
결국 진통 끝에 세종시에서 협정식을 체결했지만, 경북도에서는 이철우 지사가 불참했고 강성조 행정부지사가 대신 참석하는 등 깔끔한 뒷마무리가 아쉬웠다는 지적이다. 장세용 구미시장도 5일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협정 체결과 관련, “6·1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 선거 결과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정치권 움직임이 지역 현안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며 “취수원 협정도 대구시장에 어느 분이 당선되느냐에 따라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고민이 된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또, 군위군 대구 편입건은 거의 성사단계에서 국회 입법 과정에서 브레이크가 걸렸다. 편입 법률안 심사를 하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제1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인 김형동(안동) 국회의원이 반대 뜻을 완강하게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TK 의원들은 3, 4월 중 편입 법률안 통과를 약속했지만 정치권의 관심이 지방선거의 블랙홀에 빠지면서 약속 지키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당초 대구시는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대구시 군위군수를 뽑고, 경북은 통합신공항 연착륙에 속도를 붙인다는 계획이었으나 현재 여건상 물건너 갔다는게 중론이다.
통합신공항의 선결조건인 군위군의 대구 편입이 막히면서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도 답보상태다.
국토교통부의 대구 민간공항 이전 사전타당성 검토, 대구시와 국방부의 통합신공항 기본계획 구상 용역은 기한을 수개월 넘긴 채 결론을 못 내고 있다. 신공항 및 연계 광역교통망 국비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기약할 수 없는 상태다.
특히 권영진 대구시장이 차기 선거에 불출마한 가운데 모 대구시장후보는 대구공항 활성화 등 통합신공한 건설과는 배치되는 발언을 쏟아내 통합공항이전도 자칫 물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마저 감돌고 있다.
이같이 지역현안이 지방선거에 파묻히고 정치권의 입김에 크게 흔들리면서 삐걱거리자 TK 현안을 안착하기 위해 지역 정치권의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 현재 가장 힘을 받고 있는 인수위의 관심이 절실한 만큼, 여러 경로를 통해 인수위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등 지역민심을 전달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이와 관련, 지역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 여러가지 지역 현안 사업이 벽에 부딪친 상태인 만큼 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총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지역 미래를 결정짓는 기로에 서 있다는 각오로 인수위와 윤석열 당선인에게 강력한 지역의 메시지를 전달,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한 물꼬를 터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