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러진 나무를 보면 / 나도 쓰러진다 // 그 이파리와 더불어 우리는 / 숨쉬고 / 그 뿌리와 함께 우리는/ 땅에 뿌리박고 사니- // 산불이 난 걸 보면 / 내 몸도 탄다 // 초목이 살아야 / 우리가 살고 / 온갖 생물이 거기 있어야 / 우리도 살아갈 수 있으니”
정현종 시인의 시집 ‘한 꽃송이’(1992, 문학과 지성사)에 실린 시 ‘나무여’의 일부이다. 이 시집을 찬찬히 읽어가다 보면 나무와 꽃과 흙과 산 등 자연을 바라보는 시인의 사랑과 경외의 눈길을 마주치고 깊은 사색과 관조의 세계에 젖어든다. 그리고 어느 샌가 모르게 그 눈길을 따라 그대로 걸어가다가 시인의 사색 숲길 속으로 접어들고 있는 나 자신을 문득 발견하게 된다.
시인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떠들쳐 보지 않더라도 자연의 일부로 자연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은 본능적으로 나무와 숲이 우리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안다.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를 벗어나 나무와 풀들, 온갖 생명으로 어우러진 숲으로 들어서면 숨쉬기가 어쩌면 그렇게 달라지는지 느껴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듯하다. 반대로 산촌과 농어촌에 살던 사람이 도시에 발을 디뎠을 때의 그 갑갑함 역시 자연의 한 존재인 사람으로서 당연한 느낌일 터.
그런데, 인간의 무지와 폭력으로 인해 자연은 몹시 고통스러워 하고 있다. 환경보호라는 거대 담론을 꺼내 놓지 않아도, 현재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은 우리의 자연은 말할 것도 없고 이 자연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재앙이 되고 있다.
매해 크고 작은 산불이 일어나지만, 지난 3월 4일 경상북도 울진의 한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의 피해 상황은 여느 해의 산불과 그 양상이 매우 다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3월 7일 오전 11시 현재 1만9천553ha의 산림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숫자만 보면 감이 잘 안 잡히는데, 서울 면적의 1/4 이상, 여의도 면적의 60배, 축구장으로 치면 2만3천여개 넓이에 해당한다고 하니 그 피해 규모를 짐작은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이것이 이틀 전의 통계이고, 8일 오전까지도 완전히 불길이 잡히지 않았다고 한다. 9일 오늘까지 집계한다면 그 피해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이기에 마음이 무겁고 아프다.
산불이 빨리 진화되기를 기도한다. 불이 꺼져도 산마다 화마의 자취는 검게 남을 것이고, 산속의 생명들은 다시 삶을 이어나가려 짧지 않은 기간 동안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할 것이다. 이번 산불로 집이 타서 무너져 내리고, 한평생 삶의 흔적과 추억과 기록들까지 사라져 버린 많은 이들 역시 다시 일어서기에 몸과 마음 모두 힘든 과정을 겪게 될 것이다.
쓰러진 나무를 보면 자신도 쓰러진다고 한 시인은 같은 시집에 실린 ‘봄에’라는 제목의 또 다른 시에서 “진달래꽃 불길에 / 나도 / 탄다…. / 숨막히게 피는 꽃들아 새싹들아”라고 하였다. 검은 흙 속에서도 푸른 새싹이 돋고, 진달래 개나리가 검은 산과 그 품 안에 사는 사람들을 보듬고 위무하는 따뜻한 봄을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