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선거 판세 좌우 변수들<br/>코로나 사태 세대 간 인식차<br/>소강 상태 야권 단일화 여부<br/>李·尹 배우자 리스크도 여전
오는 3·9 대통령선거에서 대구·경북지역의 초중반 판세는 4가지 변수가 작용할 전망이다. 지역 정가에서 판단하는 4가지 변수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달성군 사저 정착,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2030세대와 4060세대의 투표율, 야권 단일화,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부인 리스크 등이다.
박 전 대통령의 대구 달성군 사저 정착은 대구·경북지역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 시각이다. 박 전 대통령의 달성 정착은 보수의 텃밭 여론에 적잖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달성 정착에 앞서 박 전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이번 대선과 관련해 입을 열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관측에서다. 이 경우 폭발력을 가진 박 전 대통령의 언급이 특정 후보에게 유·불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이 투표율에 작용할 공산이 크다. 세대간 표 결집 흐름이 보다 뚜렷해진 이번 대선에서 코로나 확산에 따른 2030세대와 4060세대의 엇갈리는 지지율도 투표율에 따라 판세에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라는 분석이다. 2030세대들은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 적극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5060세대는 감염방지를 위해 투표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또다른 관건은 야권 단일화다. 현재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게로 공이 넘어온 상황에서 윤 후보가 어떻게 단일화를 매듭짓느냐에 따라 지역 표심이 움직일 수 있다. 정가 일각에서는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오는 28일 전까지가 1차 데드라인이고 오는 3월 4∼5일 이전까지는 단일화 결론을 내려야 하는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이·윤 두 후보의 배우자 리스크도 변수다. 윤 후보는 부인 김건희 씨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과 관련,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이 후보 부인 김혜경 씨는 배우자의 갑질 논란, 법인 카드 유용 의혹 부분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두 후보의 배우자가 공식 선거 운동 첫날부터 등장하지 못하는 유례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양 배우자의 등장은 어떤 형태로든 선거 판세에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