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手不釋폰(?)

등록일 2022-02-14 19:50 게재일 2022-02-15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계절의 시계는 어김없이 가고 있다. 지척에서 기웃거릴 듯한 봄날은 서둘지 않고 기다림과 설레임 속에 차분한 걸음으로 오고 있다. 한결 포근해진 날씨에 이른 봄맞이라도 하듯 모처럼 보경사 인근의 산을 찾았다. 인적이 드문 산언저리에는 메마른 낙엽이 군데군데 쌓여 있었고 부러진 나뭇가지가 이리저리 흩어져 있었다. 겨울가뭄이 심해선지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들리는 바스락거림이 눈 밟는 소리 마냥 정겹게 여겨졌다.

봉긋하게 쌓인 낙엽더미를 지날 때마다 무릎까지 차오른 눈밭을 걷듯 푹푹 밟아 보기도 하고, 한아름의 낙엽을 공중으로 날려 눈처럼 맞기도 하다가, 푹신한 낙엽더미에 그대로 드러누워 낙엽을 이불 삼는 재미가 쏠쏠했다고나 할까? 그렇게 한적한 산길에서 장난도 치고 익살을 부리며 한참 오르다 보니 어느새 산마루에 이르렀다. 탁 트인 시야에 송라와 월포지역이 손에 잡힐 듯 들어오고 그 뒤로 동해 바다가 푸른 실루엣으로 드리워졌다. 오후의 햇살 속에 올망졸망 발 아래로 펼쳐진 멋진 광경을 사진으로 남기려 했으나 아뿔싸, 산행 전부터 줄어들던 폰 배터리가 벌써 소진돼버려 그냥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등산 초입부터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고 산을 오르며 갖가지 재미에 빠지다 보니 한동안 폰을 의식하지 못한 것 같다. 정상 주변을 돌아 하산하며 폰의 시달림(?)없는 산행 내내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이 훨씬 많았음은 불문가지였다. 스마트폰은 어느새 일상이 되어 휴대폰 이상의 많은 의미를 갖게 된지 한참이나 됐다. 아침에 잠에서 깨자마자 보는 것도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거의 온종일 손에서 떠나지 않는 것도 휴대폰이니,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 글을 읽으면서 부지런히 공부한다는 뜻의 수불석권(手不釋卷)이 요즘은 너나없이 ‘수불석폰’이 됐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만큼 스마트폰의 활용성과 의존도, 영향력이 커진 셈이다.

문명에는 빛과 그림자가 존재하듯이 시대의 총아 같은 스마트폰에도 명암이 있기 마련이다. 온갖 소통이며 정보, 지식, 콘텐츠 등을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는 분명 우리의 일상에서 편리함과 유용함을 주는 도구지만, 여러 부작용과 위험성에 노출돼 경계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을 일컫는 ‘스몸비 현상’을 스마트폰 사용자의 95%가 경험한다는 통계와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율이 42%로 높아져 갈수록 사고발생과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하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순간의 방심과 실수가 사고로 이어지듯이, 스마트폰 과의존이나 미디어 중독 예방을 위한 디지털기기 거리두기로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휴대폰에 구애됨없이 5시간여 산행을 하는 동안 짧게나마 자연을 보는 여유와 눈을 새롭게 가진 것 같다. 스마트폰과 멀어질수록 자연과 가까워지고, 수불석권할수록 세상 속에서 정을 나누며 지혜와 마주할 수 있다는 것을….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