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삼국~조선시대 ‘우리 옷 100선’ 선정

곽인규기자
등록일 2022-01-12 19:47 게재일 2022-01-13 1면
스크랩버튼
상주 소재 한국한복진흥원<br/>“다양한 콘텐츠화 사업 병행”

상주시 함창읍에 있는 한국한복진흥원(원장 이형호)이 삼국시대부터 조선말에 걸친 역사 속의 다양한 복식 중 ‘우리 옷 100선’을 선정해 관심을 사고 있다. ‘우리 옷 100선’은 고구려 벽화, 조선 의궤 등 역사적 유물과 문헌, 벽화, 그림, 의궤 등에 있는 여러 복식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우리 옷을 뽑았다.

역사와 삶을 함께 한 우리 옷은 시대별, 기능별, 형태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 속에서 우리 옷의 원형과 변화·발전과정을 엿볼 수 있다.

‘우리 옷 100선’은 한복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자 상징임을 재확인하고 새로운 기술과 접목해 한복문화콘텐츠를 개발하면서 한복문화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진행했다.

한국한복진흥원은 ‘우리옷 100선’선정을 위해 관계 전문가 8명으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한 뒤 6회에 걸쳐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자문위원들은 기초 작업으로 역사적, 학술적 관점에서 기초자료를 제시했고, 선정기준을 통해 100선 안을 마련했다.

또한 국민 인지도와 호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총 1천47명을 대상으로 ‘우리 옷 100선 국민 인지도 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대표 복식으로는 ‘고구려 기마인물(삼국시대) 90.5%’, ‘고려문신복식 90,8%’, ‘퇴청복(조선시대) 86%’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한복진흥원은 ‘우리 옷 100선’의 실물 제작은 물론 우리 옷 100선 기획전시, 우리 옷을 소개하는 스토리 영상 제작, 100선을 담은 패션-코러스 등 다양한 콘텐츠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형호 한국한복진흥원장은 “최근 중국이 제기한 ‘한복 원조 논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한복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 민족과 문화의 대표 상징인 한복의 멋과 가치를 살리기 위해서는 유관단체의 협조와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