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模型心臟(모형심장)에서붉은잉크가업즐러젓다.내가遲刻(지각)한내꿈에서나는極刑(극형)을바닷다.내꿈을支配(지배)하는者(자)는내가아니다.握手(악수)할수조차업는두사람을封鎖(봉쇄)한巨大(거대)한罪(죄)가잇다.”(한자만 한글로 병기하고 원문 그대로 옮김)
26세에 요절한 천재 시인 이상이 1934년 8월 8일자 조선중앙일보에 게재한 시 ‘오감도 시제15호’의 마지막 6연이다. 어절 사이는 물론 문장 사이의 띄어쓰기도 하고 있지 않은 이 시는 ‘오감도’ 연작시의 열다섯 번째 작품이자 마지막 작품이다. 원래 ‘오감도’ 연작시는 1934년 7월 24일에 실린 ‘시제1호’로부터 시작하여 30편까지를 계획하였는데, 도무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다는 독자들의 거센 항의로 ‘시15호’에서 결국 중단되었다.
연작시 15편 모두에 대해 해석이 난분분한데, ‘시15호’에서 나는 전율을 느낀다. ‘악수조차 할 수 없는 두 사람’은 ‘거울 밖의 나’와 ‘거울 속의 나’이겠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인사의 악수, 화해의 악수, 조약의 악수조차 할 수 없는, 시 창작 86년 뒤인 미래 세계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듯해서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계속 변이종이 생겨나고 있다. 우리 대부분은 알파와 델타 그리고 지금 전 세계를 다시 긴장시키고 있는 오미크론 등 몇 개의 변이종만 아는 정도이지만 ‘오미크론’(Omicron)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열세 번째 변이종이다. 그런데 ‘오미크론’은 고대 그리스어 알파벳의 열다섯 번째 글자인 ‘O’의 이름이다. 열세 번째 이름인 ‘뉴’(nu)는 ‘뉴(new)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열네 번째 이름인 ‘크시’(xi)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의 영문 성(Xi)와 같아서 의도적으로 건너뛰었다고 한다.
열세 번째 변이종에 열다섯 번째 글자 이름 ‘오미크론’을 붙인 것인데, 나는 ‘오감도 시1호‘의 첫 문장 ‘十三人(십삼인)의兒孩(아해)가道路(도로)로疾走(질주)하오.’를 떠올리며 다시 전율하였다. ‘십삼인의 아해’가 지금 열세 개의 바이러스로 돌변한 것은 아닐까? 이들이 세계의 길이란 길을 종횡무진 질주하고 있지 않은가! 시 ‘오감도’가 새롭게 읽힌다. 이상의 난해한 연작시는 열다섯 번째 작품에서 멈추었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변이종을 만들어 낼 것이 분명한데, 이 바이러스의 질주가 언제나 멈출 것인가.
‘세상을 바꾸는 시간(세바시), 15분’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많은 강연자가 발굴되었고, 세바시 15분 남짓의 강연을 들은 사람들은 생각을 바꾸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들을 하고 있다. 공자는 열다섯 나이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했다(吾十有五而志于學). 열다섯은 이렇게 좋게 풀어낼 수도 있는 숫자인데 코로나19는 이 숫자의 함의마저 혐오스러운 ‘변이’를 만들어 내었다.
아, 어느덧 대학의 한 학기 수업 총 15주차의 시간이 지나가고 있다. 코로나19 때문에 대학은 2년째 봉쇄 아닌 봉쇄를 당한 상태이다. 국경과 학교와 ‘사람을 봉쇄한 거대한 죄’는 바이러스에게 있을까,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추악한 인간들에게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