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발위, 대구·경북 현장간담회
이 자리에서 김사열 균형발전 위원장은 “균형발전을 위한 더 많은 노력과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시점”이라며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해왔지만, 수도권 인구집중이 50%를 넘어서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어 지역 청년이 수도권으로 떠나는 상황에서 ‘상생형 일자리’ 대구 2호 협약이 체결돼 다행”이라며 “참여하는 기업에서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대구 달성군 인구가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균형위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상생형 일자리의 선정과 지원이 명시됐다며 대구는 상생형 일자리 협약이 두 건이 체결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2019년 자동차 부품업체인 이래AMS가 상생형 일자리 협약을 체결했고, 지난 11일 농기계 생산 업체인 대동과 대동모빌리티가 상생형 일자리 협약을 맺었다. 최근 체결한 협약으로 모빌리티, 로봇 등과 관련한 미래형 일자리가 800여 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