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5년간 2천여억 적자<br/>권영진 시장 등 6개 광역지자체장<br/>정부·국회에 촉구 건의문 전달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6개 광역단체로 구성된 전국도시철도운영 지자체협의회는 4일 도시철도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에 국비 보전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발표했다. 건의문은 정부와 국회, 각 정당 대표 등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지하철 무임승차는 지난 1984년 노인복지법 및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만 65세 이상 어르신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하지만 무임승차로 인한 전국 도시철도의 손실액은 최근 5년 간 연평균 5천542억원에 달한다. 노인 인구는 올해 16%에서 2025년 20%, 2050년 40%까지 늘어날 전망이어서 손실 규모는 앞으로 더욱 커질 전망이다.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는 대구의 경우에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누적 적자만 2천59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서울과 부산에 이어 전국 3위 적자액이었다. 또 대구도시철도는 고령화로 인해 무임승객 비율이 2016년 25%에서 2019년 29.3%으로 증가해 손실액도 매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도시철도에 따르면, 2016년 448억원에서 2019년 614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이는 당기 순손실액 1천396억원의 44%를 차지했다. 특히, 작년에는 당기 순손실액이 2천62억원에 달해 만성적 적자 구조에다 코로나19로 인한 운수수익 급감 등으로 전년대비 666억원이나 급증했다.
이에 대해, 협의회는 정부의 교통시설특별회계 총 21조3천430억원을 활용하면 기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시철도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교통체계관리계정 비율을 현행 3%(6천606억원)에서 6%(1조3천19억원) 수준으로 늘리면 지자체의 연간 무임승차 손실액을 지원할 수 있다는 논리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뿐 아니라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등 지하철을 운영하는 지자체에서 무임손실로 인한 적자로 안정적 도시철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서민의 발인 지하철이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는 대승적 차원의 결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