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발생 구급차 폭행 200여 건 차량 내 경고장치 보급률은 40%<br/>폭행 피해 구급대원 지원도 미흡<br/>보급 확대 등 예산 반영 ‘절실’
소방대원들에 대한 폭행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마련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소방구급차 내 폭행 자동신고시스템 설치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39.2%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시스템은 구급차 환자실에서 폭력행위가 일어나면 자동으로 구급차 내 경고방송이 나오는 동시에 운전석에서도 경고등을 통해 환자실의 위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7일 행정안전위원회 국민의 힘 김용판 의원(대구 달서구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구급차 자동 경고 및 자동신고 장치 보급현황’ 자료에 따르면 운영 중인 구급차 수 1천569대 중 폭행 자동신고시스템 설치는 615대에 그쳤다. 비율로는 39.2%에 해당한다.
한편, 해마다 구급대원 폭행은 200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술에 취한 사람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실제 소방청이 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구급대원 폭행은 892건이 발생했다. 이 중 술에 취한 상태로 발생한 폭행이 791건(88.7%), 정신질환 32건(3.6%), 기타 69건(7.7%)으로 대부분이 음주폭행인 것으로 집계됐다.
김용판 의원은 “현재 장치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적극적인 예산반영을 통해 구급대원과 환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폭행피해를 본 구급대원에 대한 지원책이 미비하다”며 “법률자문 및 소송지원, 심리상담 등이 적극적으로 이뤄지도록 소방청의 노력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