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두 차례 비가 오고 나니 하늘은 더욱 높아지고 푸르름을 더해간다. 정갈한 햇살과 선선한 바람 결에 들판의 알곡이 여물어 가듯이, 도처에서는 이러저러한 선행과 희소식이 들려온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죽장면의 수해현장을 근 4주째 빠짐없이 찾아 복구와 지원의 일손을 보태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기술인의 최고 영예라 할 수 있는 ‘대한민국명장’ 선정 등의 기쁜 일들이 잠시나마 코로나의 시름을 잊게 해준다.
대한민국명장이란 산업현장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기술자로서, ‘숙련기술장려법’에 따라 숙련기술 발전 및 숙련기술자의 지위 향상에 크게 공헌한 사람을 지칭한다.
이러한 제도는 1986년부터 시행돼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한 37개 분야 97개 직종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기계, 재료, 전기, 통신, 조선, 항공 등의 산업분야와 금속, 도자기, 목칠 등의 공예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서류, 현장심사를 통해 선정한다.
국가가 인정한 최고의 장인(匠人)이기에 선정되기까지는 낙타가 바늘구멍 들어가기 보다 어렵고 경쟁이 치열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대한민국명장에 포항지역의 명문사학 출신의 포스코 기술자가 선정돼 화제와 찬사가 쏟아지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2명의 우수숙련기술자 선정을 비롯하여, 이미 2015년에 대한민국명장에 선정돼 산업과 국가 발전에 공로가 인정되는 자에게 수여하는 ‘산업포장’까지 이번에 함께 받아서 경사를 더했다. 특히 4명 모두 같은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출신의 15회 동기생으로 포항제철소에 재직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고 이채롭기만 하다.
우수숙련기술자와 대한민국명장에 선정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과 고초가 있었을까? 수 없는 학습과 좌절, 부단한 인내와 의지로 현장에서의 기술력과 활용성의 가치를 드높이며 정성과 최선을 다한 쾌거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노력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듯이, 어쩌면 서럽도록 힘겨운 노력과 눈물겨운 정성이 빚은 선물 같은 결실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라 했던가. 포철공고는 어느덧 반세기의 역사를 가지고 국가산업정책에 부응하는 고급인력 양성, 전문성과 인성을 겸비한 철강분야의 융, 복합 전문기술교육으로 4차 혁명시대를 이끌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인재를 육성, 배출하는 명문사학으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다. 많은 변화와 성장의 50년 역사 속에 전국적으로 1만5천여명의 동문들이 산업현장과 문화예술계 등 각계각층에서 저마다의 재능과 기량을 발휘하며 소임을 다하고 있다. 대한민국명장 선정과 산업포장 수훈은 이러한 맥락에서 포공인(浦工人)의 저력을 만방에 드러낸 명문교육의 소중한 결실이다.
사람이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큰 일을 이루기 어렵듯이(人無遠慮 難成大業), 특히 교육이나 인재양성은 먼 장래를 내다보며 원대한 계획과 치밀한 준비로 지속적인 창의와 혁신이 있어야 개인의 성취와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