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남면 최경태 평온수산 대표<br/>바이오플락 양식기술 등 적용<br/>성장 가능, 연간 30t 생산 전망
[상주] 바다에 서식하는 흰다리새우를 내륙에서 양식하는데 성공한 어가가 있어 화제다.
상주시 화남면에서 육상 양식업을 하는 최경태 평온수산 대표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한 종류인 흰다리새우 양식에 성공, 양식새우를 첫 수확했다.
흰다리새우는 일반적으로 30퍼밀(permillage·염분 농도의 단위) 정도의 바다에 서식하는 새우로 바닷가 주변에서 바닷물을 이용해 양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경태 대표는 그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바닷물을 희석한 후 10퍼밀 정도의 낮은 염분 농도에서 흰다리새우를 양식하는 데 성공했다.
성공 요인은 바이오플락 양식기술 등을 적용한 것이다.
미생물을 통해 물 속 오염물질이나 대사 노폐물을 정화해 물을 갈아주지 않아도 양식이 가능한 기술로 살균제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 안전먹거리 생산이 가능하다.
우수한 수질 정화 기술로 물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으며, 일부 배출하더라고 염분 농도가 낮아 토양 등의 오염 우려가 거의 없다는 장점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연구소는 바이오플락 양식기술을 꾸준히 보급해 오고 있는데, 최 대표의 경우 2020년 10월 한 달간 친환경 새우양식을 위한 바이오플락 양식기술을 이전받아 바다가 없는 내륙에서 저염분으로 양식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를 남겼다.
내륙에서의 흰다리새우 양식은 현재 미미한 정도지만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최 대표는 연간 30t 정도의 흰다리새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상주시 관계자는 “지역에서 바이오플락 기법의 저염분 농도 양식 성공으로 향후 흰다리새우의 연중 생산이 가능해 소비자는 싱싱한 새우를 구입하고, 양식 어가는 안정적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