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1일부터 우편요금이 인상됐다. 2019년 5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일반우편료가 380원이던 것이 430원으로 50원이나 오른 것이다. 2001년에 엽서 140원과 규격봉투 170원이었던 것이 매 2~3년마다 20~30원씩 올라 이제 그때 요금의 2.5배가 넘는다.
우정사업본부는 ‘소포사업 내실화와 국제물류 활성화 등 수익성 제고와 물류체계 개편, 인력 운영 및 우체국망 효율화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을 했으나 부득이 요금조정을 하게 됐다’고 밝히며 깊은 이해를 당부했다. 그 요인으로는 모바일 전자 고지 전환에 따른 우편수요 감소와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을 문제로 꼽는다.
IT시대의 정보교환과 전달방식의 비대면·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우편물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고, 그에 따른 우편 영업손실이 지난해 기준 1천239억 원이었으며, 우편량은 2002년 55억 통으로 최고치를 보였다가 매년 점차 감소하여 2020년엔 31억 통으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우리집만 보더라도 은행카드, 보험, 전화, 전기 등 자동납부 내역과 세금 및 각종 공과금, 회비 납부 고지서가 매달 10개 정도로 우편함을 채우고 있었지만 전자 우편으로 바꾸어 달라는 권고를 따라주어 현재는 배달되는 우편물이 반 정도이다. 이는 종이 사용줄이기 등의 환경문제 해결을 실천하려는 것으로 맑은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이다.
우편요금은 우편물 종류에 따른 31개 구간에 50원씩 인상되어 일반우편의 경우 우편엽서는 350원에서 400원으로, 규격봉투는 380원에서 430원으로 올랐다. 이는 25g까지로 A4용지 4매 기준이며 일반 등기는 여기에다 등기수수료 2천100원을 추가하면 되는데, 이 수수료는 이미 작년 7월 1일 1천800원에서 300원 인상되었었다. 미국 일본 중국 등 10여 개 국가에서도 인상하고 있다니 디지털 시대를 맞은 세계적 추세인 모양이다. 개인이 한 통 부치는데 50원 인상은 큰 금액은 아닐지 몰라도 납부 내용을 일일이 고객에게 고지해야 하는 은행이나 단체는 부담될 것이지만 환경보호 차원의 경비를 분담한다는 생각을 하면 어떨까?
우편요금이 바뀌면 새 우표가 발행되는데 이번에도 430원 520원 2천530원짜리 세 종류가 발행되었다. 520원 우표는 규격 외 봉투에 편지를 넣어 보낼 때 붙이려는 것이다. 일반 우표 도안은 태극기와 무궁화이고 등기우편용에는 청자 주전자가 디자인되어 우표수집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솔솔한 재미도 주고 있다. 또 우편요금 변동과 무관하게 규격 우편에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 ‘영원 우표’도 있다. 2013년에 처음 발행된 후 2015년에는 50여 종에 가까운 영원 우표를 계속 발행한 적이 있다.
나도 우표수집을 즐기고 있어 새 우표가 나올 때마다 우체국에 가서 손편지를 보내는데 침 발라서 부치던 옛 시절을 생각하며 한 장씩 우표를 정성껏 풀로 붙여 보낸다. 요즘 이메일, 카톡 등으로 얘기를 주고받지만 하얀 봉투에 예쁜 우표를 붙여 우체통에 넣어 보내는 일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430원으로 나의 마음을 3~4일 내로 배달해 주는 우편은 가성비도 최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