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인연

등록일 2021-09-01 20:06 게재일 2021-09-02 17면
스크랩버튼
배문경수필가
배문경수필가

창밖에는 장맛비가 내린다. 나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2악장을 엘렌 그리모의 피아노로 듣고 있다. 귀에 익숙한 선율에 조금의 슬픔과 고요히 차오르는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단순하고 아름다운 선율 때문일 수도 있고 아련한 시칠리아노 리듬 때문이거나 누군가를 떠나보낸 추억 때문일지도 모른다.

작가 최인호를 본 적이 있다. 2011년 말께 동리문학상을 수상하기 위해 경주를 방문했을 때였다. 작은 체구의 그가 위트가 섞인 대화를 하며 식장으로 들어설 때의 모습을 기억한다. 더더욱 침샘암을 앓고 있을 때였다. 그는 연단에 서서 수상소감을 밝히며 글 잘 쓰는 작가인 자신을 위해 모인 사람들이 기도해 달라고 부탁했다. 나 또한 한 사람의 독자로 그를 위해 기도했다. 오년의 투병이 그를 기다렸고 이후 힘든 시간을 보내고 평화로워졌을 사후에 책으로만 그의 문학세계를 읽을 수 있었다.

십여 년이 지난 어제, 지인 몇몇이 모여 그의 에세이집 ‘인연’을 두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암 진단 후 인생이란 길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을 통해 얻고 기억해낸 추억을 가감 없이 혹은 이야기 형식으로 남겨 둔 내용이었다. 한 사람의 생애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인연이 만들어지고 흩어지는지를 보았다. 역시 고등학교를 다닐 때 신춘문예에 당선되는 천재작가답게 편안하고 솔직담백한 글들이 길고도 짧은 내용들로 가득 차있었다.

이름만 대면 알만 한 사람들로 빼곡했다. ‘고래사냥’으로 의기투합했던 배창호 감독과 ‘바람 불어 좋은 날’의 안성기 배우가 함께 했던 시간들을 다시 떠올리게 하며 다양한 감성을 전달했다. ‘바보들의 행진’, ‘깊고 푸른 밤’과 함께 그 시대를 대변할 아이콘들이 된 영화들을 만나보니 역시 작가의 끼와 입담이 느껴진다. 청바지와 장발의 그 시대가 실로 그립기까지 하다.

인연만큼 인생 전반을 휘어잡을 단어가 있을까. 그러고 보니 태어나는 순간부터 자타로 나뉜 인연으로 태어난 것이 아닌가. 정자와 난자인 부모를 통해 이 땅에 삶의 의무를 띠고 태어난 이후부터 나의 의사와 전혀 상관없이 만들어지는 혈연관계와 태어난 땅에 의해 국가가 결정되니 인연이란 얼마나 큰 범위며 나를 규정짓는 잣대일까. 침략과 전쟁을 치르며 고통 받던 대한민국이 가난을 벗고 발전해가는 나라로 거듭남에 이 또한 감사한 인연이다.

며칠 전, 오년을 함께 근무하던 동료가 직장을 관두게 되었다. 나간다고 할 때는 붙잡으려고 했지만 일이 힘들어 몸피가 반쪽이 된 모습에 잡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걸 알았기에 붙잡는 손에 힘이 풀렸다. 그래도 빈자리에서 불어오는 찬바람과 곳곳에서 함께 했던 추억들이 떠오르자 그만 눈시울이 붉어졌다. 바람 불고 비 오는 시간들을 함께 견딘 날들이었다. 잠시 공원을 거닐며 지난 시간을 회상해보니 인연이 준 기쁨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느끼게 했다. 인연은 어둡고 캄캄한 바다라는 인생을 항해할 때 어둠속에서 길을 제시해 주는 등대인지도 모른다. 그 등대를 벗 삼아 힘든 자갈길이며 진흙길도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며 걸을 수 있었다.

최인호는 전찻길을 건너다 철로에 떨어진 동생의 벗겨진 꽃신을 집어 들다 전차에 무참히 밟힌 어린 누이를 ‘죄가 있다면 이 가엾은 누이는 이 추악하지만 그래도 아름답고, 이 야비하지만 그래도 거룩한 생을 스스로 포기했다’라고 표현했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쓴 작가의 깊은 마음속의 아픔이 아련하게 통점을 자극한다.

결국 우리는 삶의 고리를 풀고 자유를 찾아 한 마리 새로 날아오를 때까지 얽히고설킨 인연을 이어가게 된다. 더러 손아귀에 힘을 주고 잡거나 더러 빈손에 좌절하지 않는 생애를 만든다. 하늘 높이 날던 조나단도 혼자 높이 멀리를 향해 날갯짓을 했을 때는 얼마나 외로웠을까. 그래서 함께 할 때 더 많은 힘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나와 당신의 행보이기도 하다.

나른한 봄날의 하루, 한 여름의 한 줄기 시원한 바람이 음악 속에서 느껴진다.

아름다운 삶을 함께 나누어보지 않으시렵니까?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