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독도) 이달의 수산물 도화새우…보호생물 수거머리말, 무인도서 독도파도바위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08-26 11:44 게재일 2021-08-26
스크랩버튼

울릉도(독도) 8월의 수산물로 도화새우(독도새우), 해양보호생물은 수거머리말, 무인도서는 독도파도바위가 선정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울릉ㆍ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는 지난 2020년 9월부터 1년간 매달 이달의 울릉도(독도) 수산물, 무인도서, 해양보호생물을 선정해 홍보하고 있다.

목적은 울릉주민의 삶이 담긴 바다의 보물인 울릉도(독도) 수산물 홍보와 동해 해양생태계의 오아시스로서 해양생명의 삶터이며 해양영토적 가치로서 무인도서의 중요성,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인 울릉도 해양보호구역의 보호 필요성 등을 알릴 목적으로 기획됐다.

이달의 수산물 도화새우는 독도새우로 유명하며 미 대통령 트럼프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청와대 만찬에 등장했던 새우다.

도화새우는 찬물을 좋아하는 한류성 해양생물로, 독도 및 울릉도 근해 등 동해의 수심 180m 내외의 깊은 바다의 해저면에 서식하고 있다.

수명은 약 8년으로 추정되며 유생으로 부화, 수컷으로 성장했다가 3년차에는 암컷으로 성 전환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큰 개체는 모두 암컷인 셈이다.

산란기는 4~6월경으로, 약 6천~8천 개의 알을 산란한다. 독도 및 울릉도 근해에서 주로 어획되는 새우는 3종류가 있다.

일명 꽃새우로 알려진 물렁가시붉은 새우, 머리부분이 닭 벼슬 모양을 닮아 흔히 닭새우로 알려진 가시배 새우, 그리고 도화새우다.

이들 새우는 울릉도 독도 바다의 깊은 수심에서 통발로 잡으며, 특히 편평한 해저지형이 아닌 골짜기 모양의 해저지형에서 잘 잡힌다고 어민들은 말한다.

독도 인근은 심해에서 분출된 화산섬이라는 특성상 이런 골짜기 모양의 해저지형이 크게 발달돼 있어 심해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해저 계곡이 심하고 깊어 새우가 서식하기 좋은 여건을 가진 셈이다. 이달의 무인도서는 울릉도 주민들이 독도 파도 상태를 예측했던 독도 파도바위다. 울릉도에는 독도의 파도를 예측했던 바위들이 있다.

울릉도 남서쪽 연안의 통구미 몽돌해수욕장에 있는 독도파도바위는 독도 동도 남서쪽에 위한 독도 동도 접안장과 유사하게 울릉도 남서쪽에 위치, 남서풍에 의한 파도 영향을 독도와 유사하게 받아 울릉도 주민들이 독도 파도를 예측하곤 했던 바위다.

독도파도바위에 물이 넘치면 독도 동도 접안장 파도가 높고, 반대로 잔잔하면 독도 동도 접안장 또한 잔잔한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울릉도 주민들이 삶의 터전으로 독도를 활용했던 이야기가 담긴 바위이지만, 아직 공식명칭이 없어 독도파도바위라는 명칭을 제안했다.

독도파도바위와 유사하게 울릉도 사동 아랫구석 마을에도 독도 파도 상태를 예측했던 바위가 또한 있다.

최근 해양수산부에서는 독도 관람객들의 독도 접안 여부와 관련,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자 독도 동도 접안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영상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관련 영상은 독도종합정보시스템(www.dokdo.re.kr)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달의 해양보호생물로 선정된 수거머리말은 수심 20m에서도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바다 식물이다.

국제자연보전연맹 위기 근접종이며 해양보호생물인 수거머리말은 거머리말과에 속하는 잘피류로, 해조류가 아닌 육상식물과 같이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현화식물이다.

주로 수심 약 4~12m 연안의 모래나 펄 바닥에서 뿌리를 내리고 서식하는 여러해살이 해초류다. 우리나라 수거머리말은 세계에서 가장 길이가 길어 약 6m까지도 자라며, 바닷물이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4~5월부터 꽃을 피우고 9월까지 열매를 맺어 번식한다.

수거리말은 약 1억 년 전인 백악기에 육지에서 바다로 서식지가 이동하여 진화했으며, 바닷속에서 생존하고자 산소를 공급하는 통기조직이 크게 발달했다.

수거머리말은 광합성 능력이 뛰어나 많은 양의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 지구온난화 완화에 이바지하고 있고 파랑을 약화시켜 어류의 생육장으로서 안정적 서식환경을 만들어준다.

또한 수많은 무척추동물의 먹이원을 공급하는 서식지 역할을 하고 있다. 울릉도의 경우, 관음도, 가두봉, 학포 인근의 수심 20m 전후의 수심대에서 수거머리말의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울릉도는 국내 다른 서식 수심대 보다 깊은 수심에 수거머말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사실 울릉도는 우리나라 잘피류의 최대 수심 서식지이다.

울릉도(독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투명도가 높아(30~40m) 깊은 곳까지 광합성 식물이 자생할 수 있어 수거머리말과 같은 잘피류의 우리나라 최대 수심 서식지이다.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는 2020년 9월부터 이달의 울릉도(독도) 무인도서, 수산물, 해양보호생물 기획은 2021년 8월 부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1년간 시리즈를 담아 포스터를 제작, 배포 예정이다. 오는 10월부터는 ‘해양과학으로 보는 이달의 울릉도(독도)’로 새로운 기획 시리즈를 시작할 예정이다.

울릉도(독도)의 해저지형, 기후변화와 수온상승, 울릉도(독도)를 덮친 태풍, 오징어의 과학 등 다양한 울릉도(독도) 이야기를 과학적 시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가 기획한 이달의 울릉도(독도) 무인도서, 해양보호생물, 수산물의 디자인은 임효은 울릉공작소 대표가 맡았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