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공항건설 해상 흙탕물 사석 반입이 문제…석산 사석 아닌 건설현장에서 유입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08-19 14:47 게재일 2021-08-18
스크랩버튼
시공사인 DL이엔씨가 홍보용으로 제공한 사진(왼쪽)은 사석 투하해도 깨끗하지만 오늘쪽 사진은 같은 장소지만 흙탕물이 발생, 사석에 대한 불신을 쌓고 있다. /아시아투데이 제공
시공사인 DL이엔씨가 홍보용으로 제공한 사진(왼쪽)은 사석 투하해도 깨끗하지만 오늘쪽 사진은 같은 장소지만 흙탕물이 발생, 사석에 대한 불신을 쌓고 있다. /아시아투데이 제공

최근 울릉공항건설 현장에 사석을 투하하면서 바다에 흙탕물이 발생, 사석 반입의 적격성 여부와 울릉도 해상 환경오염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로 바다를 메워 활주로를 만드는 울릉공항 건설은 바닷속에 사석을 투하, 기초가 되는 기반을 다지고 사석 위에 초대형 케이슨(시멘트구조물)을 거치해 활주로를 만든다.

그런데 최근 사석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흙탕물이 카메라에 잡히면서 사석의 적정성 여부와 관계없이 주민들 사이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울릉공항을 건설하면서 바다에 들어갈 사석량은 118만 1천870㎡이다. 그런데 현재 울릉공항 사석 유입과정은 보면 흙탕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한 제보자의 설명이다.

제보자에 따르면 현재 울릉공항에 유입되는 사석은 석산에서 개발한 사석이 아니라 경남 거제행정다운 개발 현장 등 일부 땅속에서 채취한 사석이 반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이다.

이에 대해 석산 전문가 A씨는 “거제행정타운 건설현장에 반입되는 사석의 강도 등은 울릉공항 건설사용에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흙이 섞여 나오면 절 때 안 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울릉도는 청정해역이고 바다는 주변 환경이 민감하기 때문에 흙이 섞여 들어가면 생태계파괴 등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사석을 씻어서 흙탕물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고 말했다.

따라서 이번 ”울릉공항건설 현장 흙탕물 발생과 관련 오탁 방지 시설 등으로는 해결 하기 힘들다“며 ”사석을 아예 씻어 투하해야한다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렇지 않으면 또다시 흙탕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이 안 되면 석산에 개발한 사석을 유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DL이엔씨(구 대림산업) “관계자는 사석 유입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DL이엔씨가 홍보용으로 제공한 사석 투입사진은 투하 주변 해상이 깨끗하지만 같은 장소에서 제보자가 촬영한 사진은 흙탕물 투성이라 사석에 대한 불신이 일고 있다.

한편, 최근 울릉도 해안에 전역에서 길게 발생한 적조 현상이 이곳 사석에 묻은 흙 등에서 유입된 유해 물질이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한 것이 아닌지에 대한 연구조사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