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호천·금호강 등 6곳 하천<br/>담수생물 등 196종 정보 담아
책자에는 낙동강 상류 자호천, 금호강, 북천, 이안천, 황지천, 감천 등 6곳의 하천에 사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과 수변·수생식물 등 196종 정보를 담았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란 하천 등에서 서식하는 담수생물 중 눈으로 구별할 수 있고 척추가 없는 동물을 뜻하며 다슬기, 재첩, 잠자리(유충), 하루살이(유충) 등이 포함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17년부터 최근까지 ‘낙동강 상류 중심(헤드워터)의 담수생물다양성 분석 연구사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도심지 인근, 폐탄광, 농경지 등을 흐르는 낙동강 지류·지천 6곳의 담수생물 현황을 조사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87종, 수변·수생식물 599종의 출현을 확인했다.
‘낙동강 생물길 1~4’는 이달부터 지자체, 연구기관, 초·중·고 등 관계기관에 배포되며, 17일부터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 누리집(fbp.nnibr.re.kr/portal)에도 전자책 형태로 전문을 공개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