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하늘서 본 울릉도·독도 황홀경… 울릉공항건설, 대구·경북공항 이전 기념 무착륙비행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08-16 14:44 게재일 2021-08-15
스크랩버튼
독도가 저기 보여요,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한 어린이가 비행기 안에서 독도를 가르키고 있다 /경북도 제공
독도가 저기 보여요,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한 어린이가 비행기 안에서 독도를 가르키고 있다 /경북도 제공

울릉도·독도 무착륙 비행행사가 열렸다. 8·15 광복 제76주년을 맞아 대구공항을 출발, 아름다운 울릉도와 민족의 섬 독도 상공을 돌아오는 대구~울릉도·독도 무착륙 비행 행사가 15일 개최됐다.

경북도가 오는 2025년 개항할 울릉공항 홍보와 대구·경북 신공항 이전지 선정 1주년을 기념하고자 열린 이날 행사는 국내 유일 소형항공사 '하이에어'의 50인승 여객기를 이용해 오전 8시15분과 오후 2시 45분, 2회에 걸쳐 진행됐다.

이날 무착륙 비행에 선정된 비행기는 울릉공항 건설이 완공되면 오는 2025년에 울릉공항에 취항할 같은 기종인 50인승 소형비행기로 미리 운항을 해본 샘이다.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선발된 경북도민들 /경북도 제공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선발된 경북도민들 /경북도 제공

대구공항을 출발한 탑승객들은 1시간에 걸쳐 울릉도·독도 상공을 돌아보는 체험을 했고 이들에게는 독도명예주민증과 함께 독도 공기를 담은 독도공기캔 등 이색적인 기념품을 받았다.

기내에서는 독립기념관에서 제작한 역사 콘텐츠 독도역사교실(독도키트) 자료를 통해 독도의 역사와 자연에 대해 이해를 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날 탑승의 영광을 안은 주인공들은 경북도가 SNS를 통해 울릉도·독도를 그려 응모한 일반인과 광복회 및 독도관련 단체 등 90여 명의 탑승객을 선정했다.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출발하기 앞서 기념 촬영 /경북도 제공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출발하기 앞서 기념 촬영 /경북도 제공

탑승 행사에 참여한 김 모 씨는 "울릉도·독도를 하늘에서 바라볼 수 있는 무착륙 비행 행사에 참여해 너무 기쁘다."며"곧 취학예정인 아이들과 우리나라 동쪽 끝 울릉도·독도 하늘을 날며 광복절의 참 의미를 알려줄 좋은 기회였다."라고 말했다.

이동일 광복회 경북도지부장은 "광복 76주년을 맞아 꼭 가보고 싶었던 동해의 외로운 섬 울릉도와 독도를 1시간 만에 갈 수 있게 된다는 게 너무 감격스럽고 우리의 땅 독도에 대한 소중함이 더 간절해진다"고 소감을 말했다.

최혁준 경북도 통합신공항추진단장은 "대구공항에서 출발해 울릉도·독도 상공을 비행한 것은 처음으로 광복절날 독도를 둘러보는 첫 비행을 해 감격스럽다." 며 "대구경북신공항과 울릉공항이 성공적으로 건설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선발된 탑승자들이 하늘에서 기념촬영 /경북도 제공
광복절 기념 울릉도ㆍ독도 무착륙비행에 탑승에 선발된 탑승자들이 하늘에서 기념촬영 /경북도 제공

울릉공항은 6천600억 원의 국비를 투입해 2025년 개항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울릉공항이 개항되면 울릉도에서 우리나라 전국 어느 곳이던 1시간 생활권이 돼 관광이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릉공항건설은 DL 이엔씨(구 대림산업)컨소시엄이 공사를 맡아 현재 순조롭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섬 일주도로가 지나가는 가두봉을 절개하기 위해 대체도로인 터널공사가 막바지 작업 중이며 활주로 건설 사석투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대구·경북신공항은 2020년 8월28일 이전 부지를 선정한 이후 대구시의 기본계획 수립용역, 국토부의 민간공항 타당성 검토 용역, 경북도의 공항신도시 및 교통망 구상 용역을 추진 중이며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