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하루

등록일 2021-08-10 19:49 게재일 2021-08-11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밤새 울어대는 벌레와 지렁이들의 합창으로 선잠에서 깨어난다. 처서 전후부터 울기 시작하는 지렁이의 맑은 음색도 좋지만, 가을 초입을 알리는 풀벌레 울음소리도 그에 못지않다. 어제 아침나절 서울의 후텁지근하고 끈적끈적한 새벽녘의 기억이 잠시 상념에 잠기게 한다. 불과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이토록 다른 세상과 만난다는 일이 낯설다. 그것도 같은 나라 같은 하늘 아래서 24시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하루라는 시간이 제법 길구나, 하는 생각이 찾아온다. 누구나 경험하지만, 시간에는 상대성이 개입한다. 상황에 따라서 길게도 짧게도 느껴지는 것이 시간이다. 마음 설레게 하는 사람과 보내는 시간의 찰나 같은 짧음과 지겹고 싫은 관계에서 느껴지는 영겁의 장구함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아인슈타인도 미인과 함께하는 시간의 짧음과 뜨거운 화덕 위에서 맛보는 기나긴 시간의 차이에서 오는 상대성을 말한 바 있다.

같은 시간을 달리 경험하는 인간을 생각하면 무상하다는 어휘가 떠오른다. 늘 그러하지 않다는, 변화무쌍할 수밖에 없다는 가르침이 폐부를 찌른다. ‘붓다 연대기’를 읽으면서 알게 된 자명한 사실 하나. 우리 기분에는 세 가지 층위가 있다는 것이다. 좋은 기분과 나쁜 기분,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기분. 단순하고 명쾌하게 인간의 기분과 감정 상태를 규정한다. 항상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 무시로 변하는 감정과 기분!

여기서 우리는 항심이나 항상성을 연상한다.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과 일관성을 유지해나가는 성질 말이다. 자신의 기분에 휘둘리지 아니하고 언제나 같은 마음을 지켜나간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일희일비하지 않는 무거움과 자신을 향한 엄중함이 상존(常存)하는 내면세계를 구축한다는 것의 어려움이 손에 닿을 것 같다. 그래서일까. 동서양 지혜를 다룬 서책마다 등장하는 공통의 문장 있다.

“늘 그러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는 “그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제의 위대한 승리와 환희가 오늘과 내일도 가능하지 않다는 가르침. 하지만 욕망의 화신인 인간은 어제의 축복과 광희(狂喜)가 오늘도 내일도 아니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란다. 거기서 좌절과 실의가 생겨난다. 실패는 망각하고, 성공은 오래 간직하고 싶은 선택적 기억의 수인(囚人)으로 우리는 살아간다. 그것도 천년만년 살 것처럼 허우적대면서….

언젠가 김범수의 ‘하루’가 레코드 가게와 방송을 초토화한 적이 있다. 거리에도 광장에도 지하철에도 흘러나오는 노래는 ‘하루’뿐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따라 부를 수도 없이 어렵고 신비로운 노래 ‘하루’. 고통스러운 이별을 발라드풍으로 애절하게 노래하는 가수의 절규가 저물어가는 하오의 먼지 풀풀 일어나는 거리를 휩쓸고 지나가는 풍경. 거기서 되풀이되는 하루와 또 다른 하루의 균질한 시간의 경과.

똑같은 색깔과 향기와 무게로 하루가 겹쳐지고 포개지는 날들의 연속으로 이어지는 청춘의 상실과 비련은 눈물겹다. 그래도 내일은 다른 얼굴의 하루가 되기를!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