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떠난 자리

등록일 2021-08-04 20:05 게재일 2021-08-05 17면
스크랩버튼
배문경 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사람들로 웅성거리던 자리에 먼지가 내려앉았다. 번화했던 거리의 가게들이 코로나로 인해 문을 닫았다. 가까운 은행도 이 환난을 넘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예전처럼 붐비지 않는다. 은행을 찾기보다는 집에서 손가락으로 인터넷 뱅킹을 이용했고 그 편리함으로 인해 은행을 찾는 횟수는 차츰 줄어들었다. 그래서일까. 영업이 어렵다던 은행은 결국 쇠문을 굳게 닫았다. 한여름 절규하듯이 우는 매미소리가 오히려 적막하게 들린다.

몇 년 전, 병원 일층에 있던 은행이 길 건너편으로 이전을 했다. 큰 도로 하나를 건너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겼다. 감수할 정도의 불편함이었는데 이제는 아예 큰 글씨로 ‘임대, 매매’라고 써놓았다. 이 비싼 빌딩에 이만한 평수를 임대해서 운영하는 일이 만만찮았을 것이다. 빈 은행에는 버려진 집기류와 은행로고가 선명히 새겨진 홍보물이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다. 바삐 움직이던 사람들의 흔적이 사라지니 사물들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하지만 그마저도 어둠 속으로 고요히 사라진다.

사라진 것은 은행만이 아니다. 근무지의 응급실이 문을 닫았다. 밤늦도록 흥청망청하던 술꾼들이 사라지고 잡다한 사고가 줄어들자 찾는 이도 많지 않았다. 그로인해 응급실의 밤은 전등만 환했다. 십여 년 같이 근무한 동료가 일자리를 잃었다. 권고사직으로 얼마 동안 실업수당은 받겠지만 갑자기 직장을 잃은 그들은 다른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할 것이다. 24시간 환하던 공간이 저녁 6시면 자물쇠로 채워지니 가슴이 답답하다. 다들 어디로 내몰리는 것일까.

십년이 넘도록 사용하던 사무실 문을 마지막으로 닫고 돌아섰을 때, 창가에 두었던 화분 속 꽃들도 말라비틀어졌다. 울컥했던 그 시간이 지나가서 차라리 다행이다. 과장실을 혼자 사용하다 직원이 여러 명인 검진실로 옮기며 그동안 사용했던 집기류와 살림살이를 꺼내놓자 구석구석 박혀있던 짐들이 두 세배로 늘어났다. 버리려고 내놓은 손때 묻은 물건들을 보며 지난날을 떠올렸다.

삶이란 내려놓을 때 성숙해지는 것일까. 내가 존재하는 이 공간과 시간이 온전히 내 것이 아님을 조금은 알게 되었다.

직원이 다 빠져나간 후 관리자의 허락을 받아 은행에서 수명이 다한 물건 서너 개를 가져왔다.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며 앉았던 고객용 패브릭소파와 버리기 아까운 소품 몇 개를 챙겨왔다. 자물쇠로 채워진 서랍장의 열쇠가 한 꾸러미다. 열쇠에 매달린 종을 빼자 뎅그렁 소리가 울린다. 마술처럼 여기저기 닫혀있던 문이 열릴 것 같았다. 누군가에게 생일 선물로 받은 것 같은 쑥부쟁이가 그려진 기왓장도 챙겼다. 쑥부쟁이 가득한 들판으로 나비 서너 마리가 날갯짓을 하자 눈부신 햇살이 비추는듯하다. 버려진 기억이 누군가의 추억에 편입되었다.

누군가가 떠나야만 또 다른 누군가가 들어선다. 물건도 낡아 버려야만 새 물건이 그 자리를 메운다. 하지만 사람이 일하던 자리를 때론 로봇이 차지한다. 좀 더 편리하고 쉽게 일하고자 만든 기계가 사람의 자리를 메우고 일자리를 빼앗는다. 나의 자리 너의 자리가 안전하지 못하다.

많은 것을 잃고 헤매는 지금의 이 상황들이 가상의 게임 속에서 벌어지는 일로 끝나면 좋으련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생존을 위한 일자리가 있어야만 그나마 오늘을 살고 내일을 기약할 수 있다. 이 소박한 바람이 누군가에게는 커다란 사치가 된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지금도 은행 문을 열고 들어서면 환한 미소와 친절한 목소리로 직원이 내게 말을 걸 것만 같다. 혹여 그들이 떠난 자리가 깨끗이 정리된 후 AI가 나를 맞는 것은 아닐까?

“손님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나태주 시인의 ‘떠난 자리’가 생각난다. “나 떠난 자리 너 혼자 남아 오래 울고 있을 것만 같아 나 쉽게 떠나지 못한다. 여기 너 떠난 자리 나 혼자 남아 오래 울고 있을 것 생각하여 너도 울먹이고 있는 거냐? 거기.”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