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건희 미술관, 애초부터 지방은 안중에 없었다

등록일 2021-07-08 18:51 게재일 2021-07-09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시를 비롯 전국 30여 지방자치단체가 유치를 희망했던 이건희 미술관 후보지가 결국은 서울로 결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건희 미술관 건립 후보지로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와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송현동 부지 2곳을 최종 후보지로 한다는 결정을 7일 발표했다.

국토균형 발전과 비수도권 주민의 공평한 문화 향유권 기회를 요구했던 지방주민의 간절한 소망은 그 어떤 대답도 듣지 못하고 서울 일방의 결정에 산산조각이 났다. 공정한 절차과정도 없이 후보지가 결정된 것에 대한 실망도 크지만 중앙 정부가 바라보는 지방 경시에 대한 편견이 고질화 됐다는 사실에 분노마저 느껴지는 대목이다.

특히 대구시 등 영남권 5개 자치단체장이 합의하고 요구한 비수도권 대상 공모에 대해 일언반구의 해명도 없는 정부의 결정은 지방은 애초에 안중에 두지 않았다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황희 장관이 “지방에 둘 경우 국고손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발언에서 이미 짐작은 했지만 문체부의 너무 안이한 결정에 지역민으로서 느끼는 상실감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 문제를 논의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위원회’ 구성원 7명 중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도권에서 활동 중인 사람이다. 이것만으로 공정성은 벌써 잃었다. 애초부터 비수도권은 후보지는 물망에 두지 않겠다는 것이고 지방자치 단체의 사활을 건 유치경쟁은 그들의 결정에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 이런 경우다.

대구시 등 전국의 많은 자치단체가 반발에 나선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건희 미술관 건립비 전액 부담을 내걸었던 대구시는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물품의 입지를 서울로 결정한 것을 전면 재검토해 달라고 반발했다. 부산시는 정부의 결정에 반발해 이건희 미술관과는 별개로 세계적 미술관 분관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방도시의 이런 반발을 정부는 결코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 인구와 경제 등 수도권으로만 집중되는 국토 불균형의 문제가 더이상 참을 수 없는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이며 이에 대한 전국 2천800만 비수도권 주민의 반발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스페인 공업도시 빌바오의 부활을 꿈꿨던 지역의 실망을 달랠 특단의 조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