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리와 소리 사이

등록일 2021-06-23 20:03 게재일 2021-06-24 17면
스크랩버튼
배문경수필가
배문경수필가

열어둔 창으로 빗소리가 들린다. 가만히 누워 빗소리를 들으면 잠마저 촉촉해진다. 우물 속을 바라볼 때처럼 아득하고 깊다. 세상을 찬찬히 적시다 내게 다가와 손길을 서서히 뻗어 쓰다듬듯이 낭창하게 마음속으로 어둠에 섞인 비를 뿌린다. 어느 유년의 한때 미루나무가 제 그림자를 뻗어내던 가로수의 그림자를 밟고 걸었던 시간과 오버랩 된다.

바야흐로 번성의 계절이다. 덩달아 봄꽃 사라진 자리로 소소하게 금계국이 피고 석류꽃이 피어난다. 무논에 모내기 끝낸 자리로 자욱하게 개구리소리 요란하다. 온몸으로 울어대는 개구리의 떼창에 여름 더위가 깊어간다. 밤새 저 왁자한 개구리 소리는 언젠가 들렸던 화개장터의 요란한 정오 같다. 산 것들의 생식이 빚어내는 절묘한 절규다. 가야금을 서서히 켜다 자진모리로 달려가며 숨이 멎을 듯이 극으로 치닫는 소리 같다.

개구리 소리가 사라지는 아슴푸레한 새벽, 먼 산에서부터 뻐꾸기 소리가 낭창하게 들린다. 나무와 나무를 오가는 새소리가 밤을 걷어낸다. 상쾌하고 발랄한 아침, 신선한 바람의 전령사처럼 금세 휘파람이라도 불고 싶다.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농약 등으로 새소리가 없어진다면 우리는 어떤 환희로 아침을 맞을 것인가를 묻는다. 나 또한 한겨울 날개를 제대로 펴지 못한 새들이 푸른 하늘을 나는 소리에 살아있다는 기쁨을 느낀다.

분황사에 새벽 예불을 드리기 위해 절문을 열면 한꺼번에 밀려드는 새소리는 아득하다. 천국이 있다면 천당이 있다면 필히 이렇게 아름다운 새소리가 있을 것이리라. 초록의 잎사귀가 하늘을 덮은 절집마당에 하늘과 땅이 온통 새소리로 인해 기쁨과 가득 찬 환희를 맛본다.

여름이 깊어갈 즈음, 고목의 꼭대기에서 들려오는 매미소리를 듣는다. 이미 개구리가 짝짓기를 끝내고 소리 없이 떠난 뒤이다. 자지러지도록 매앰맴 소리에 하늘이 쩍 갈라질 듯하다. 절창이란 말이 맞을 것이다. 칠 년이란 긴 시간 동안 침침하고 캄캄한 땅속에서 견뎌냈으니, 어찌 작렬하지 않을까. 애벌레인 굼벵이가 땅속에서 올라와 허물을 벗고 날개를 펼치며 매미가 되는 모습은 불교에서는 해탈이고, 도교에서는 껍질을 벗고 새로운 몸을 얻기 때문에 재생이라고 한다.

“매암이 맵다 울고 쓰르람이 쓰다 우니, 산채를 맵다는가 박주를 쓰다는가. 우리는 초야에 뭇쳐시니 맵고 쓴 줄 몰라라.”

이정선은 평시조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삶을 노래했다. 하지만 소음의 주범인 말매미는 플라타너스라 불리는 양버즘나무와 벚나무를 좋아하는데, 이 나무를 가로수와 정원수로 도로와 아파트 등에 많이 심으면서 번식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10마리 수컷 말매미를 대상으로 소리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사람에게는 아주 고통스러운 수준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여름 소리에서 소음으로 전락한 매미 소리는 안타깝다.

죽은 매미가 길가에서 발견되면 어느새 창 근처에는 풀벌레 소리가 들려온다. 귀뚜라미 소리가 가을 초입을 알린다.

풀벌레 소리가 벼가 익는 소리처럼 익어갈 즈음 방안에 누워서 배가 아프다고 뒹구는 나를 달래던 소리가 있었다.

“내 손이 약손이다. 내 손이 약손이다.”

엄마는 배 위를 슬슬 쓰다듬으며 문지르며 자신의 손이 화타의 손인 양 아픈 배가 낫는다고 했다. 어느새 잠든 내가 깼을 때는 어둠이 대문 안으로 들어와 있었다.

태어날 때, 삼신할미의 손에 궁둥짝을 철썩 맞고서야 첫울음으로 자타(自他)가 세상에 자신을 알린다. 잘살든 못살든 한 생애를 끝낸 자리에 울음보로 예(禮)를 다하니 시작과 끝이 결국 소리의 한 생애가 아니던가.

지금, 뭇소리 속에서 어둠을 헤치고 내게 온 개구리 소리가 흐뭇하기만 하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