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노인학대

등록일 2021-06-17 20:24 게재일 2021-06-18 19면
스크랩버튼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보건복지부가 노인학대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코로나19가 창궐했던 지난해는 전년보다 학대신고 건수가 19.4% 증가했다. 코로나 영향으로 우울장애, 스트레스, 가족갈등으로 불가피하게 노인학대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가정 내 학대판정을 받은 건수가 전년보다 23.7% 늘었고 자녀와 같이 사는 집에서 일어난 학대도 전년보다 29%가 증가한 것이다. 감염병 확산으로 가정 내 체류시간이 길고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갈등이 확산된 것 같다는 분석이다.

아동학대 가해자의 80%가 부모다. 그러나 노인학대 가해자의 80%는 자녀다. 특히 노인학대 자녀 가운데 아들이 60%를 차지한다.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들었다고 하나 노인 문제에 관해서는 고개가 갸우뚱하는 부분이 많다. 노인학대와 더불어 노인 자살률, 노인 빈곤율 등은 OECD 국가 가운데 꼴찌다. 2019년 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58.6명이다. OECD 회원국 평균 18.8명의 3배 수준이다.

노인 빈곤율은 2018년 기준 43.4%로 밝혀졌다. OECD 평균인 14.8%의 3배가량 된다. 위의 통계를 살펴보면 한국의 노인은 과연 다른 나라 노인보다 행복하다 말할 수 있을지 하는 의문이 든다. 특히 경제 선진국이라 자랑하면서 노인 빈곤율이 이처럼 높은 것은 우리의 경제성장이 어떤 과정을 거쳐 왔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남는다.

100세 시대를 맞아 노인 문제에 대한 정부의 생각을 짚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노인학대 예방의 날(6월 15일)처럼 노인의 문제가 스쳐가는 행사의 일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