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미형 도시재생,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등록일 2021-06-13 18:32 게재일 2021-06-14 16면
스크랩버튼
장세용 구미시장
장세용 구미시장

구미의 큰 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민선 7기 출범 이후 원평동에서 물꼬를 튼 구미의 도시재생은 선주원남동과 금오시장, 선산시장 세 곳의 사업을 새로 추진하며 순항 중이다.

거기에 지난해 국가산업단지가 있는 공단동 일대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지정되면서 구미가 추진하는 도시재생은 한층 힘을 받게 됐다.

구미는 우리나라 산업화와 궤적을 같이하며 성장한 도시다. 60,70년대 산업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된 까닭에 공장이 먼저 들어서고 그 주변으로 주거지와 상업시설들이 얼기설기 형성돼 발전해 왔다. 경남 창원, 경기도 과천과 같이 계획화된 도시가 아니다 보니 주거기능과 상업기능이 혼재돼 있어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도시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구도심과 신도심의 불균형 또한 구미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그렇다고 위축될 필요는 없다. 구미가 가진 도시의 강점과 그 가능성은 실로 크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업도시, 대한민국 산업을 견인해 온 수출도시,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온 제조도시로 구미는 국가 성장의 구심점이 되어 왔다. 지방에서 구미만큼 산업의 펀더멘탈(Fundamental)이 잘 갖춰져 있는 도시가 또 있을까. 필자는 감히 단언할 수 있다.

구미는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도시다. 그것이 바로 구미라는 도시의 정체성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정체성을 살리는 것이 진정한 구미의 도시재생일 것이다. 구미는 그동안 원도심을 재생하고, 노후 산단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문화 활동을 이끌어 내는 문화적 도시재생에 주력해 왔다. 구미형 도시재생 프로젝트라는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구미가 지향하는 바는 다름 아닌 도시혁신이다.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혁신은 단순히 도로를 깔고 아파트를 짓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물리적인 공간과 시설을 재생하는 것뿐 아니라 도시가 지닌 가치를 찾아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 지난해 말 국가시범지구로 지정된 공단동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은 산업단지를 활용해 새로운 재생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방 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국가시범지구로 지정된 것도 그 때문이다.

상상해 보라. 1969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공장밀집 지역에 입주기업과 비즈니스 센터가 들어서고, 창업기업을 위한 시설도 들어선다. 노동자를 위한 복합지구에는 행복주택과 보육 시설, 라키비움(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이 자리 잡게 된다. 낡고 생기를 잃었던 공간에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고 교류가 활성화 될 것이다. 스마트산단과의 시너지 효과는 물론 산단 대개조와도 맞물려 침체된 지역 경제도 활기가 살아날 것이다. 산업단지의 정체성을 살리며 새로운 가치를 더한 도시재생, 얼마나 기대되는 일인가.

구미형 도시재생이 구미를 유토피아로 만들겠다는 뜻이 아니다. 역동성과 가능성이 숨 쉬는 공간, 도시의 경제와 사회기반을 살려 지속가능한 구미를 만들어가겠다는 전략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에 따른 배후도시로서 향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미의 도시 공간 구조를 새롭게 창출하는 일 역시 우리 구미의 도시재생이 향후 긴밀하게 조율해야 할 과제이다.

도시재생 전문가인 필자에게 고향 구미는 꽤 매력적인 도시다. 잠재력과 가능성이 큰 도시기 때문이다. 매우 기대되는 여정이지만 불안과 우려도 있다. 이런 때 가장 힘이 되는 것은 우리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다. 안타깝게도 코로나19 여파로 구미가 추진 중인 도시재생이 잠시 주춤하긴 하지만 여건은 충분히 무르익었다. 구미의 정체성을 살린 도시재생을 차분하고 치밀하게 준비해야 할 때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