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토부 “2035년엔 드론 타고 전국일주하자”

박형남기자
등록일 2021-03-31 20:15 게재일 2021-04-01 2면
스크랩버튼
K-UAM 기술로드맵 상정·의결
서울서 대구까지 시속 300㎞로
운임 1㎞당 1천300원 목표 추진
오는 2035년이면 드론을 타고 서울과 대구, 부산, 제주를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실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청사진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기술로드맵’을 제32차 경제중앙대책본부에 상정·의결했다고 31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기술로드맵은 지난해 6월 발표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의 후속 조치로, UAM을 일상 교통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핵심기술 확보 전략을 담고 있다. 특히, 기술 수준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에 따라 초기(2025∼2029년), 성장기(2030∼2034년), 성숙기(2035년∼) 등 3단계로 UAM 시장을 구분하고 기술 수준에 따른 목표를 설정했다. 국토부는 “성숙기에 접어드는 2035년에는 배터리 용량 증대 및 기체 경량화에 힘입어 UAM 비행 거리가 300㎞(서울∼대구)로 늘어나고, 속도도 시속 300㎞로 빨라진다”면서 “2035년 전국적으로 50여 곳의 버티포트(일종의 UAM 공항)가 구축되고 200여 개 노선이 운항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드론의 기체 가격도 내려간다. 드론은 1대당 약 7억5천만원 수준으로 내려가고, 1인 기준 1㎞당 운임은 1천300원가량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이번 기술로드맵은 안전성·수용성·경제성·지속가능성·상호발전을 기술로드맵의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정부는 기체 및 승객 안전성 확보 기술을 최우선으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기상변화와 충돌 등 위험요인을 대비한 안전성 기반 시스템을 설계·제작하고, 인증·시험평가 등을 통해 기체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 K-드론 시스템과 연계한 UAM 운항 및 관제 절차, 실시간 기상·재난정보 등을 고려한 최적 비행경로시스템 등을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고도·거리·빈도 등 운용범위를 고려한 공역을 설계하고 다중통신·정밀 항법 등 UAM용 항행 관리 기술도 개발되며, UAM의 국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도 개발한다. 이외에도 대기오염 감소, 저소음 추진 장치 등을 개발하고, 정시성을 높일 수 있는 스케줄링과 기상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도 마련한다.


김상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국내 항공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기회가 열린 만큼 새로운 기술로드맵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