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원안위, 한울2호기 재가동 승인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1-03-29 20:25 게재일 2021-03-30 2면
스크랩버튼
해양생물 취수구 유입으로 발생
터빈 정지 안전성 확인 마무리
지난달 터빈 및 원자로가 정지된 경북 울진의 한울 2호기 재가동이 승인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3월 22일 터빈 및 원자로가 정지된 한울2호기와 터빈이 정지된 한울1호기의 사건조사 및 안전성 확인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한울2호기의 재가동을 29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원자로가 정지되지 않았던 한울1호기는 원자로 출력을 감발해 약 1% 출력을 유지 중이며, 한수원은 원자로 출력을 증발할 예정이다.


원안위에 따르면, 지난 3월 22일에 발생한 한울2호기 터빈·원자로 정지 및 한울1호기 터빈 정지 사건은 해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대형 플랑크톤의 일종인 살파가 취수구 외부에 설치된 그물망을 손상시키고 1·2호기 취수구로 급격히 유입돼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량의 살파가 취수구 입구의 이물질 여과설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한울1·2호기의 순환수펌프가 자동 정지됐다. 이로 인해 해수 공급량이 적어지자 양호기의 터빈이 정지된 것이다.


한울2호기는 터빈 정지 당시 원자로 출력이 비교적 높은 상태(40% 이상)였기에 원자로 보호를 위해 원자로가 즉시 자동 정지됐으며, 한울1호기는 원자로 출력이 40% 이하로 감발된 상태에서 터빈이 정지됨에 따라 원자로가 자동 정지되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원안위는 “한울1·2호기 사건 진행 과정에서 운전원의 조치가 관련 절차서에 따라 수행됐고, 안전설비가 설계대로 작동했으며, 발전소 내·외 방사선의 비정상적 증가 등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취수구에 유입된 해양생물이 제거됐고, 손상된 그물망은 적절히 교체됐으며 해양생물 유입에 대비한 한수원의 순찰 및 조기대응 절차가 강화됐다”며 “해양생물 감시카메라(CCTV) 설치 및 그물망 보강·추가 등 후속조치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진호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