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의 중요성

등록일 2021-03-28 18:24 게재일 2021-03-29 16면
스크랩버튼
이승율청도군수
이승율청도군수

인간이 언제나 걱정해야 하는 것이 먹거리다.

우리의 조상은 ‘의식주(衣食住)의 해결이 가장(家長)의 덕목’으로 챙길 만큼 먹거리의 소중함을 강조했다. “가장 슬픈 것이 배고픔을 참는 것이다”란 말이 회자할 정도로 먹거리의 중요성은 현재에도 진행 중이지만 미래에도 그 가치는 더 중요해질 것이다.

먹거리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것과 흙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우린 한 때 자기가 사는 땅에서 산출한 농산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신토불이(身土不二)’를 외친 적이 있었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는 공급이 달리면 언제든지 확대공급이 가능하지만,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는 인간의 의지로 좌지우지할 수 없어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청도군은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의 중요성을 오래전에 간파해 농업인에 대한 복지와 경영안정, 농지의 효율적인 이용관리 등에 집중투자하고 필수요건인 농업인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농업인이 고령화되고 있는 현실을 타파하고자 군은 지난해 1월 귀농귀촌담당을 신설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젊은 층의 욕구를 해소하며 다양한 정책지원을 하고 있다.

귀농인의 정착지원을 위해 농업창업과 주택구매를 지원하고 농지임차료 지원, 정착 장려금, 주택수리비지원 등과 마을주민들과 융화될 수 있도록 교육과 초청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청년 창업농을 육성하려고 영농정착지원 등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귀농귀촌·청년 창농인 박람회 참가 등으로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홍보에도 적극적이다.

젊고 유능한 농업분야 진출과 건실한 농업 경영체로 성장시키고자 독립경영 1년차 100만원, 2년차 90만원, 3년차 80만원과 창업자금, 기술·경영교육, 컨설팅을 지원하는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과 청년 농부 창농기반구축사업 등으로 청년창업농을 발굴·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덕분에 2018년 390명이던 귀농귀촌인구가 2019년 633명으로, 2020년에는 825명으로 증가하는 등 귀농귀촌의 중심에 서 있다.

올해는 귀농지원센터가 운용돼 귀농귀촌 지원 관련 홍보, 교육, 정보제공, 청도에서 미리 살아보기 등 찾고 싶고, 살고 싶은 청도를 만드는데 일조하게 된다. 농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불법전용농지 지도단속을 강화하고 불법전용농지관리를 전산화해 단계별 행정조치 등 투명성을 높일 예정이다.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가 중요해도 흙을 경작해야 할 농업인이 대접받지 못하면 공염불에 그치게 된다. 청도군은 농작물 재해보험과 가축 재해보험을 지원해 기상재해를 대비하고 농가 도우미와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특수건강검진비 지원 등 농업인의 복리증진과 경영안정 지원에, 영농 편의를 위해 농기계를 저렴한 사용료로 임대하고 있으며 새로운 영농기계의 구매에도 적극적이다.

농촌자원의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자 농산물 안전 분석실 건립과 청년 임대형 스마트 팜 단지 조성, 드론 방제단 운영, 농산물 가공 부가가치 향상, 고품질 과실 생산기반 지원, 신소득 작물 및 특화작물 확대 육성 등 스마트 농업 인프라를 적극 구축하고 있다. 또 통합마케팅 출하조직 육성과 농산물 수출 확대 기반조성, 농축산물 가격안정기금 운용, 농특산물 온·오프라인 마케팅 강화, 친환경 축산경영 지원 등 지속 가능한 농업생태계 기반을 조성해 농업인의 사기를 높이고 있다. 특히 거점세척소독시설을 조기완공 해 AI, 구제역, ASF 등 가축질병으로부터 청정 청도를 유지해 지역의 농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축산농도 보호할 것이다. 지난해는 코로나19로 누구나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농업인들의 시간은 더 힘들었다.

출하시기를 놓치면 상품가치가 하락하지만, 소비자와의 거리는 멀어 마음고생 할 때 한재미나리, 복숭아 등 농산물 팔아주기 등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업인의 수고로움이 가슴에 와 닿았기 때문이다.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려면 흙을 보존하고 농업인의 사기진작에 노력해야 한다. 앞으로도 흙에서 생산되는 먹거리의 안정적인 가격형성을 위한 청도군의 행정서비스는 계속된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