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코로나 블루’ 치유하는 식도락 여행을 문경에서

등록일 2020-12-06 18:41 게재일 2020-12-07 16면
스크랩버튼
고윤환 문경시장
고윤환문경시장

문경새재는 코로나19 이전에도 매년 2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는 치유 관광의 명소였다.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자유롭지 않은 사회생활 등 각종 제약이 일상화된 지금 ‘코로나 블루’치유를 위해 문경을 찾는 관광객이 더 많아지고 있다.

지난 4월 개장한 문경새재 내 문경생태 미로공원은 체험거리를 더한다. 개장 후 6개월에 못 미치는 기간 동안 입장객 5만 명이 방문해 언택트 관광지로서 면모를 실감케 했다.

문경생태 미로공원은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측백나무로 특색 있게 조성한 도자기 미로, 연인 미로, 생태 미로와, 문경에서 채취한 자연석으로 만들어진 돌 미로 등 4개의 미로로 이루어져 있다.

도자기미로 출구로 나가면 유아숲체험놀이터와 인공호수를 중심으로 아름다운 정원도 조성돼 있어, 미로공원을 찾는 가족단위 관광객들의 휴식과 놀이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올봄 개장한 문경단산관광모노레일도 주말 및 연휴기간에는 조기 매진되는 등 문경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단산 정상부까지 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문경단산관광모노레일은 해발 260m에서 출발하여 860m까지 3.6km를 왕복하는 국내최장 산악 모노레일이다.

해발865m의 정상에 오르면 백두대간의 절경과 함께 단산 숲속 캠핑장(16개소), 숲속 썰매장(6레일), 전망대, 산악 바이크 로드(21km) 등 다양한 체험거리가 조성돼 있으며, 길이 200m, 폭 2.5m의 무장애 데크길도 마련해 유아, 노인, 장애인 등 누구나 편안히 산 정상의 정취를 맛 볼 수 있다.

모노레일 승강장에서 단산 정상까지 걷기 쉽게 조성돼 있는 1.9km의 데크로드는 사람이 가장 쾌적함을 느끼는 해발고도에 위치하여, 걷다보면 그간 쌓인 우울감과 피로가 절로 치유될 것이다.

문경시는 풍부한 볼거리에 여행의 맛을 더할 먹거리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과 맛있는 음식이 눈앞에 있다면, 그보다 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다.

면역력 유지가 중요시 되는 요즘 단산이나 새재에서 찬바람 좀 쐤다면, 따끈따끈한 문경 보약약돌한우탕 한 그릇이 몸도 마음도 따뜻하게 녹여줄 것이다.

‘문경 보약약돌한우탕’은 지난달 문경읍 소재 문경약돌한우타운에서 열린 문경 약돌축산물을 활용한 새로운 먹거리 소개 행사를 시작으로 문경 대표먹거리로의 첫 발을 내딛었다.

문경 보약약돌한우탕은 약돌한우의 갈비뼈, 사태살을 푹 고아 국물을 내고, 수삼과 황귀, 흰목이버섯(은이버섯)을 곁들여 보약에 뒤지지 않는 영양 가득한 한우탕이다.

문경약돌한우는 문경에서 생산되는 약돌(거정석)을 첨가한 전용사료를 먹고 자란 한우로 철저한 사양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생산되기 때문에 육질이 단단하고 깊은 맛이 난다.

문경시는 70년대 탄광촌이 호황이었고, 당시 광부들은 목에 낀 탄가루가 기름기 많은 돼지고기와 함께 씻겨 내려간다고 생각해 돼지고기를 즐겨 먹었다.

90년대 들어 탄광이 줄어들면서 ‘석탄의 시대’는 저물었지만, 이들의 특별한 밥상은 아직도 문경의 밥상에 남아있는데 그것이 바로 약돌돼지 족살찌개다.

누구나 좋아하는 시원하고 칼칼한 국물맛에 문경의 약돌을 먹여 키운 약돌 돼지의 쫄깃함이 더해져 환상의 궁합을 자랑하는 음식이다.

이러한 지역의 특색이 녹아있는 음식을 브랜드화 하고, 문경의 대표 먹거리로 개발·홍보하고자 시작한 것이 ‘문경하면 족살찌개!!’ 족살찌개 달인을 모집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맛 집에는 인증서를 달아 홍보하고 있는 사업이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총 3개 업소가 ‘문경하면 족살찌개 1호점, 2호점, 3호점’인증을 받아 족살찌개를 판매하고 있다.

지역의 먹거리는 그 곳의 역사와 특색을 잘 머금고 있어야만 공감을 얻을 수 있다. 문경시는 코로나로 지친 심신을 달래기 위해 문경을 찾아온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먹거리 속에서 행복을 충전하고,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문경 보약 약돌한우탕’과 ‘문경 약돌돼지 족살찌개’뿐만 아니라, 문경 김치 브랜드화 등 특색 있는 지역 먹거리 발굴 및 정착에 힘쓸 것이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