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양 전통시장 배송서비스로 전화 한통이면 집 앞까지 배달해요

등록일 2020-11-22 20:00 게재일 2020-11-23 16면
스크랩버튼
오도창 <br>영양군수
오도창영양군수

영양전통시장은 1918년 5월 4일 개장해 100년 이상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오래된 시장이다. 최근 소비자들은 상품의 다양함과 이용의 편리함을 이유로 인근 마트를 이용하거나 도시의 대형마트에서 쇼핑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다. 지난 세월 골목의 노점 리어카에서 물건을 팔던 상인들과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로 늘 북적였던 영양 전통시장은 근근이 명맥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시장을 찾는 발걸음이 점차 줄더니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경기 침체를 벗어나지 못해 예전의 활기찬 모습은 사라져 버렸다. 게다가 최근 온라인이나 모바일을 통한 거래가 많아짐으로써 힘들게 발품 팔며 시장을 거니는 일도 사라졌다. 그러나 우리군은 지역 특성상 대형마트나 배달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고 전통 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층이 대부분 고령의 어르신들이라 영양 전통시장을 활성화를 비관할 상황은 아니다. 대형마트가 전무한 영양에서는 소비자들을 전통시장으로 이끌 수 있는 경쟁력이 있다. 그리고 여전히 전통시장이나 5일장을 이용하는 어르신의 비중이 우리군은 많기 때문에 영양 전통시장을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에 영양 전통시장 상인들은 힘을 합쳐 ‘장보기 좋은 시장’으로의 변신을 시도했으나 운영이 영세한 상인들의 힘만으로는 대형마트와 온라인 매장을 이겨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우리군은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전통시장 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특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손님이 편하게 시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영양전통시장 도로확포장 공사, 전통시장 점포 창틀(새시)교체, 전통시장 화재안전시설 개보수(CCTV), 전통시장 노후 전선 교체 및 누전차단기 설치 등을 시행했다. 향후에도 영양전통시장 공영주차장 건립사업, 전통시장 화재감지시설 설치, 클린 5일장 육성사업 등이 완료가 되면 보다 쾌적한 전통시장 환경을 조성하면 소비자들의 방문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2020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전통시장 장보기 배송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점이다. 영양 전통시장에서의 배송서비스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미 장보기 배송서비스는 다른 지자체에서 성공적으로 정착이 된 사례도 있지만 일부는 준비과정에서 철저하게 준비하지 못 해 실패한 사례도 많아 배송서비스 시행에 따른 우려 때문에 사업 추진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배송전담 인력(2명) 확보와 차량을 구입해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전에 2019년 7월 3개월간 시범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장보기 및 배송서비스는 오전 8시에서 오후 5시까지 현장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배송서비스 콜센터를 통해 전화 주문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영양읍 소재지(화천, 무창리, 기산리 등 제외) 내 지역은 2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 대해 무료 배송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외 지역은 영양시장 내 상품을 5만원 이상 구매한 후 배송 수수료 2천원을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 장보기 배송서비스는 교통편이 어렵거나 몸이 불편해 시장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들 그리고 시간적 여유가 없어 장을 보기 힘든 젊은 층까지도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장보기 및 배송서비스는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적정 이상의 배송 건수가 성립되지 않으면 운영비, 인건비를 마련하지 못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군은 배송직원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해 상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그리고 영양전통시장 상인회에서는 각 점포별로 진열된 상품의 질을 높이고 가격대를 비슷하게 책정하는 등 소비자들이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전화로 주문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눈으로 직접보기 사지 못하기 때문에 더 신선하고 질 좋은 상품을 엄선해 배달함으로써 재구매율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전통시장도 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몇 년 전까지의 영세하고 낙후된 시설의 영양 전통시장을 잊어버리고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 뒤지지 않는 최적의 쇼핑 공간으로 느낄 수 있도록 우리군에서 지원가능한 모든 방안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군과 시장상인회가 상호협력해 소비자의 입장에서 눈높이를 맞춰 양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영양 전통시장이 활기를 띌 것이라 확신한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