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민의힘 김상훈(대구 서구)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시·도별 주택임대차 정보 현황’에 따르면, 2020년 6월 현재 전국의 임대 중인 주택 731만3천204가구 중 (공부상) 임대료가 파악 가능한 주택은 207만464가구(28.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524만2천740가구(71.7%)는 임대료 정보가 없었다.
결국 문재인 정부가 각종 임대사업자 정책과 세제개편을 추진했지만, 가장 기초적인 임대소득 자료도 없이 진행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시·도별 임대소득 내역은 서울 47.4%, 경기 35.0%, 대전 33.9%, 세종 32.4% 순이었다.
부산과 대구, 광주 등 주요 광역시의 임대소득 파악은 모두 30% 이하를 밑돌았고, 전남과 제주는 각각 6.8%와 8.4%에 그쳤다.
김상훈 의원은 “문 정부에서 추진된 각종 주택 관련 세금 강화 정책이 과연 현실에 기반을 두고 이뤄진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국토부는 새 시스템 구축으로 임대소득을 훤히 다 본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깜깜이 행정에 불과했고 그 불편과 피해는 국민에게 고스란히 전가된 셈”이라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