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는 선정위의 최종 결정이 나면 다음 달 중 통합신공항 기본계획수립, 국토부 민간공항 사전 타당성 조사 등의 행정적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통합신공항 사업은 이제부터가 사실상 시작이다. 부지선정을 위한 주민의견 수렴이 끝났을 뿐이지 법적, 행정적 실무 작업은 지금부터라는 뜻이다. 산 넘어 산이란 말처럼 앞으로 할 일이 태산이다.
무엇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시도민의 염원을 담는 공항으로 완성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국가 관문공항으로서 기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전의 의미가 없다. 국가 비상시 인천공항을 대체할 수 있도록 중량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를 확보하는 것부터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중앙정부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은 필수다.
이와 관련해 무소속의 홍준표 의원은 특별법을 제정하자고 이미 주장한 바 있다. 신공항 및 종전부지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만 추진한다면 재원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신공항 건설은 국토균형발전의 핵심사업이기 때문에 국가가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통합신공항 사업의 성공을 위해 대구와 경북민은 그동안 온 힘을 쏟아 부었다. 신공항 건설이 가져다 줄 경제적 이익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낙후되고 있는 대구경북의 경제를 끌어올릴 유일한 수단이라고 믿고 있다. 이제는 이런 지역민의 여망을 담은 신공항을 건설하는데 총력을 쏟아야 한다. 그 중심에 지역의 정치 지도자들이 앞장서야 한다.
전국 지자체마다 생존을 위한 해법에 몰두하고 있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어떤 모습으로 완성되느냐에 따라 우리지역의 미래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