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관문공항 성공 위해 정치권이 나설 때다

등록일 2020-08-25 18:46 게재일 2020-08-26 19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지가 28일 국방부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에서 공동후보지인 군위 소보·의성 비안으로 최종 결정될 것이 확실하다. 의성군이 24일 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가 마련한 통합신공항 인센티브안에 대해 합의를 함으로써 신공항 이전지 문제가 드디어 최종 매듭을 짓게 된다. 대구시가 2014년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한 지 6년 만이다.

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는 선정위의 최종 결정이 나면 다음 달 중 통합신공항 기본계획수립, 국토부 민간공항 사전 타당성 조사 등의 행정적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통합신공항 사업은 이제부터가 사실상 시작이다. 부지선정을 위한 주민의견 수렴이 끝났을 뿐이지 법적, 행정적 실무 작업은 지금부터라는 뜻이다. 산 넘어 산이란 말처럼 앞으로 할 일이 태산이다.

무엇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시도민의 염원을 담는 공항으로 완성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국가 관문공항으로서 기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전의 의미가 없다. 국가 비상시 인천공항을 대체할 수 있도록 중량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를 확보하는 것부터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중앙정부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은 필수다.

이와 관련해 무소속의 홍준표 의원은 특별법을 제정하자고 이미 주장한 바 있다. 신공항 및 종전부지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만 추진한다면 재원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신공항 건설은 국토균형발전의 핵심사업이기 때문에 국가가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통합신공항 사업의 성공을 위해 대구와 경북민은 그동안 온 힘을 쏟아 부었다. 신공항 건설이 가져다 줄 경제적 이익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낙후되고 있는 대구경북의 경제를 끌어올릴 유일한 수단이라고 믿고 있다. 이제는 이런 지역민의 여망을 담은 신공항을 건설하는데 총력을 쏟아야 한다. 그 중심에 지역의 정치 지도자들이 앞장서야 한다.

전국 지자체마다 생존을 위한 해법에 몰두하고 있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어떤 모습으로 완성되느냐에 따라 우리지역의 미래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