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연봉 킹’

등록일 2019-04-09 19:48 게재일 2019-04-10 19면
스크랩버튼

연봉이란 한 사람이 일년동안 받는 봉급의 총액을 일컫는다. 현대사회에서 연봉이 많은 직장에 다닌다는 것은 좋은 직장에 다니고 있다는 것과 같은 말로 통한다. 사람으로 말하면 연봉을 많이 받을수록 능력이 있는 사람이란 평가를 받는 게 요즘 세상의 인심이다.

모두가 꼭 그런 것은 아니라고 우겨대지만 연봉의 많고 적음이 우리사회 평가의 중요한 척도가 돼 버린 걸 부인할 수 없다. 대기업이나 신의 직장으로 통하는 공기업 등이 취업 준비생들에게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것도 연봉이 큰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유명 스포츠맨이나 인기 연예인의 경우 그들의 인기와 연봉은 정비례한다. 일반인의 상상을 뛰어넘는 그들의 연봉액에 입이 쩍 벌어진다. 연봉이 마치 세상 모든 일의 큰 기준점이 되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한다.

모든 직업은 그 고유의 역할과 가치를 각기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직업에 따라 천차만별식 연봉을 쳐다보면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말은 별로 맞지가 않아 보인다.

연봉이 높다고 좋은 직장이라고 단정 짓지는 않으나 내 가치를 높게 평가해준다는 측면에서 볼 때 연봉이 높다는 것은 괜찮은 직장임을 간접적으로 말해 주는 것이나 다름없다. 세상은 어쩔 수 없이 돈으로 평가받아야 할 때가 많다. 그래서 돈 많이 버는 직업의 순위가 발표되고 연봉 높은 인기인의 연봉액도 공개된다. 세인의 관심도 유별나게 높은 게 현실이다.

최근 국회의원의 평균 소득이 돈 많이 버는 기업 임원이나 의사보다 높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돼 국민을 허탈케 했다. 정치인도 직업이란 면에서 소득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국내 모든 직업인을 제치고 ‘연봉 킹’ 자리에 올랐다는 사실이 충격으로 다가온 것이다. 열심히 일한 사람이 많이 번다는 개념에서 볼 때 우리나라 정치인의 역할이 ‘연봉 킹’이란 결과와 잘 어울리지 않아 보이며 그래서 오히려 그 결과가 황당한 느낌으로 다가온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연봉은 땀 흘려 일한 만큼의 가치가 있어야 빛나는 법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