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보건환경硏 15곳 모니터링<br />
연구원에 따르면 이 사업은 최근 바다의 수온 상승 등으로 비브리오균이 증식할 수 있는 해양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에 마련됐다.
모니터링은 오는 11월까지 매월 2회 동해안 4개 시·군(포항, 경주, 영덕, 울진) 15개 지점의 해·하수를 채수해 비브리오패혈증균, 장염비브리오균, 콜레라균 등을 분리·동정한 뒤 비브리오균 감염 유행을 사전 예방하려는 조치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으로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는 경우,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이 감염병은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이 되는 5~6월에 첫 환자가 주로 발생해 8~9월께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중독자 등의 고위험군이 감염될 경우 치사율이 50% 내외로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감염되면 급성발열, 오한, 혈압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 발열 후 24시간 이내에 주로 하지에서 발진, 부종으로 시작해 물집이 생기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악화한다.
사람 사이에는 직접 전염되지 않으며 항생제 복용 등으로 치료된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고, 피부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을 피하며 접촉 시 노출 부위를 충분히 씻어줘야 한다. /손병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