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이자 소득의 13% 수준<BR>서민금융지원제도 효과 없어
저소득층 가구의 4분의 1 이상이 평균 3천900만원의 빚을 떠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거와 생활 등 생계를 잇기 위해 빚을 진 것으로, 저소득층의 가계부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금융 측면에서의 지원이 아닌 복지적 측면에서의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태완 연구위원의 `저소득층 빈곤환경 실태와 자활지원 연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저소득층 가구의 26.8%는 부채를 갖고 있었다.
이들 가구의 평균 부채는 3천897만원으로, 연간 이자가 소득의 13% 수준인 143만5천원에 달했다. 중위소득의 150% 이상인 상위계층의 이자 부담률은 소득 대비 4.4%로 저소득층보다 훨씬 낮았다.
부채를 지닌 저소득층 가구를 세분화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부채도 증가하는경향을 나타냈다.
청년층(18~34세)의 부채가 약 2천200만원으로 나타난 가운데 55~64세 장년층의 부채는 2003년 2천900만원에서 2014년 5천100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35~44세는 3천300만원에서 3천400만원, 45~54세는 3천800만원에서 3천900만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이는 55~64세 장년층이 조기 퇴직 등으로 경제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녀 학비와 주거비 등으로 인한 부채가 늘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소득 대비 이자 부담률도 장년층이 13%(203만원)로 가장 높았다.
저소득층 전체로 볼 때 18~34세, 35~44세는 주택 관련 부채가 각각 58.7%, 47.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45~54세, 55~64세에서는 생활비 부채가 각각 38.3%, 36.8%로 주택 관련 부채를 뛰어넘었다.
65세 이상부터는 의료비 부채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75세 이상의 의료비 부채는 22.9%로, 주택과 생활비 부채보다 많았다.
부채 형태로 보면 저소득층의 금융기관 부채 비율은 2003년 24.1%에서 2014년 18.8%로 줄었다.
같은 기간 중간계층(중위소득의 50% 이상 150% 미만)은 38.8%에서 39.6%로, 상위계층은 41.3%에서 44.6%로 금융기관 부채 비중이 늘어, 서민을 위한 금융지원 제도의 효과가 크지 않음을 드러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