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진설계,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미흡

김영태기자
등록일 2016-11-24 02:01 게재일 2016-11-24 7면
스크랩버튼
▲ 조재구 의원, 김의식 의원, 이경애 의원, 박상태 의원, 이귀화 의원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위원장 이귀화)는 2016년 집행부 행정사무감사에서 경주 지진에 따른 대구지역 내진설계 대책과 내진보강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오는 2020년 일몰제를 앞두고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책 등의 굵직한 현안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시의회 건교위 행정감사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후

수질오염 대응 방안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전적 교통 대책 마련

대구공항 통합 이전 후

K2부지 개발대책 등 촉구

또 대구시 도시재창조국, 건설교통국, 상수도사업본부, 건설본부, 도시철도건설본부, 대구도시공사, 대구도시철도공사, (사)대구광역시교통연수원 등 9개 기관을 대상으로 영남권 신공항과 김해공항 확장안 검증, 대구공항 이전 후적지 개발 및 낙동강수계 원수 확보,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교통대란 문제 등도 꼼꼼히 챙겼다.

특히 대구시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도로)의 일몰시한이 오는 2020년 7월 1일로 임박함했음에도 이의 해소를 위한 대응이 미온적이라 지적하고, 앞산터널순환도로 운영수익보전의 경우 시민의 혈세가 낭비될 가능성이 커 관리운영방식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조재구 의원은 도시재창조국 행정감사에서 “대구 내진대상 건축물의 내진설계 확보는 27.6%로 전국평균 33%보다 낮고,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미흡한 수준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준공 30년 이상의 노후 건축물이 10만6천136동으로 다른 광역시에 비해 월등히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의식 의원은 상두사업본부 행정감사를 통해 “상수원보호구역 내 주민 편의와 재산권 행사를 위한 구역 일부 해제는 바람직하지만, 해제 후 수질오염에 대한 대응방안이나 조치를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면서 “상수도 사용료 미수액이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인 것은 업무처리의 미숙에 기인한다”고 따졌다.

이경애 의원은 건설본부 행정감사에서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가 오는 12월 완공되면 내년 10월 말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공사 등이 마무리될 때까지 교통대란이 불가피하다”며 “복합환승센터 교통문제는 사후대응보다 사전적 대응이 중요한 만큼 나중에 문제 해결에 나서는 일이 없도록 대비하라”고 강조했다.

박상태 의원은 도시철도건설본부 행정감사에서 “도시철도 엑스코선 연장노선은 B/C가 나오지 않아 이시아폴리스에서 불로동, 대구공항에 이어 1호선과 만나는 노선을 먼저 건설할 필요가 있다”며 “대구국제공항 통합이전 이후 K2 종전 부지의 가치를 높여야 기부 대 양여방식 사업추진이 원활하게 된다”고 제시했다.

이귀화 의원은 공항추진본부 행정감사에서 “대구시와 구·군의 공영주차장 1천585개 중 상당수를 민간이 위탁운영하지만, 고시된 요금징수 방법 외 임의로 요금을 징수하는 사례는 엄벌해야 한다”면서 “택시업계의 건전화와 종사자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택시감차사업 실적이 업계의 미온적인 태도로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김영태기자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