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도청터 활용 시의원들 `동상이몽`

김영태기자
등록일 2015-11-24 02:01 게재일 2015-11-24 7면
스크랩버튼
`시청별관 이전` 두고 지역구 따라 신경전<BR>“인기영합성 발언은 갈등만 초래” 우려

경북도청 후적지 활용방안을 두고 대구시의회 의원끼리 신경전이 발생했다.

23일 열린 대구시의회 제238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대구시의 경북도청 후적지 임시활용계획을 두고 관련 지역 의원 상호 간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날 오철환 시의원은 경북도청 후적지 임시활용계획안의 운영유지관리비가 37억원으로 보증금 이자상당액(약 3억원)을 감안해도 15억원 가량 더 많은 점을 들어`납득할 수 없는 계획안`이라고 지적했다. 또 “차라리 연간 15억여원의 예산을 피해주민의 전업지원 자금 또는 영업손실 보전자금 등으로 사용하거나 지역개발기금 등으로 적립해 지역주민의 이익과 복지를 위해 사용한다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계획안을 반대했다.

이어 임인환 의원도 “계획안에 따르면 5년간 임시사용하고 연장할 수 있다고 되어 있는데 경북도청 소유권은 오는 2018년 이후 국가인데 권리도 없는 도청과 무슨 계약을 하느냐”면서 “별관 이전을 하면 중구의 공동화 대책은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권영진 시장은 “별관 이전은 시청 이전이 아니고 도청 후적지 임시(단기적)활용방안”이라며 “별관 이전은 각각 소규모로 이뤄지기 때문에 공동화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답변했다.

이 같은 답변에 류규하 의원은 “과거 시청 이전에 따른 행정 소모가 많았다”며 “시장이 시청 건립에 대한 철학이 있다면 이전하지 않고 현 위치에서 민자유치로 건립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별관 이전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도청 후적지를 지역구로 둔 최길영 의원은 “도청 이전으로 1만5천여명의 인구 유출이 예상되는 지역과 별관이전으로 인구유출은 전혀 없는 지역 중 어디를 중요시해야 하는가”라며 되묻고 “공동화 최소화를 위한 별관 이전은 매우 잘하는 행정이다”고 재반박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의회 한 의원은 “대구시청 이전과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은 어느 쪽이든 대구시 발전과 대구시민의 복리증진을 바탕에 둬야 한다”면서 “지역 이기주의에 바탕을 둔 인기영합성 발언은 갈등만 초래할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오는 2016년 2월부터 경북 안동으로 이전이 시작되는 도청 등의 후적지 단기 활용방안으로 현재 시청 본관이 아닌 별관에 분산 배치된 인력을 도청 후적지에 배치하는 `경북도청 후적지 임시활용계획안`을 수립했다.

또 현재 대구시청 본관에는 32과 801명, 4개 별관에는 43과 785명이 근무하고 있고 별관에는 보증금 85억원, 연간 임차료 및 관리비 등으로 연간 19억원이 소요되고 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